인구현황 > 인문환경

본문 바로가기
인문환경 > 인구와 주거 > 인구 > 인구현황
■ 인구현황

본문

조선시대 평택지역의 인구에 관한 사료로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誌』(1454년 편찬) 에 따르면 진위현 인구는 221호 535명이고, 시위군待衛軍이 10명, 선군船軍이 51명이다.
지금의 서탄면과 진위면 인구를 포함한 숫자로 당시 현은 매우 작은 규모임을 알 수 있다.
1760년 간행된 『여지도서輿地圖書』는 전국의 읍지를 종합 정리한 책으로 290여개 읍의 현 황이 수록돼 있다. 그중 진위현은 10개면 33리에 1987호, 인구 4813명이 거주했다.3) 조선후기에는 보다 정밀한 호구조사가 실시됐는데 정확한 호구조사는 조세징수뿐 아니 라 군역과 부역을 부과하는데도 도움이 됐다. 1789년(정조 13)에 작성한 『호구총수』에 따 르면 18세기 후반 우리나라 전체 인구는 1,708,908호에 7,214,453명이었다. 평택지역에 는 33,093명이 살았는데 조선 초에 비해 무려 10배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조선 후기 평 택지역의 인구증가에는 간척사업이 큰 영향을 끼쳤다. 지금 하천 변에 남아 있는 궁리, 평 궁리, 신궁리, 삼궁원, 궁논들, 수어청들과 같은 지명들은 국가나 왕실이 주도한 간척사업 의 흔적이다.



[표1] 여지도서 상의 진위현 인구 4)

(단위 : 호, 명)

호수 인구 현재지명
마산馬山 상上 28 48 22 70 진위면 마산리
하下 87 151 120 271 진위면 마산리
  성북城北 동천東泉 36 49 42 91 진위면 동천리
청호靑好 47 54 46 100 진위면 청호리
갈곶葛串 30 42 37 79 진위면 갈곶리
  성북城北 가곡佳谷 30 41 31 72 가곡리
준북浚北 30 54 49 103 하북리
견산見山 114 120 129 149 견산리
  서西 궁리宮里 20 41 38 79 고덕면 궁리
신리新里 70 93 61 154 진위면 신리
금암金岩 40 59 48 107 서탄면 금암리
마두馬頭 35 41 51 92 서탄면 마두리
내천奈川 50 41 50 91 서탄면 내천리
야막野幕 120 130 120 250 진위면 야막리
  탄현炭峴 상上 75 99 91 190 지산동
하下 75 66 62 128 지산동
사四 74 83 82 165 신장동
오五 42 66 52 118 신장동
송장松莊 동령東嶺 62 58 51 109 이충동
  여방餘方 사창司倉 50 45 50 95 도원동
갈원葛院 70 61 58 119 도원동
서재西才 60 53 55 108 동삭동
율지栗枝 30 41 39 80 동삭동
영신永新 30 52 51 103 동삭동
방효方孝 30 45 52 97 송탄동
  병파丙坡 통복通伏 65 51 66 117 통복동
비전碑前 58 62 59 121 비전동
어인남於人南 30 49 43 92 비전동
성남城南 잔교殘橋 95 140 123 263 세교동
고두高頭 동청東靑 20 42 23 65 고덕면 동청리
옹정瓮井 64 61 68 129 고덕면 좌교리
현내縣內 동東 160 277 239 516 진위면 봉남리
서西 160 202 188 390 진위면 봉남리
10면面 33리里 1,987 2,517 2,296 4,813  


1905년 경부선 철도가 건설되고 평택역, 서정리역 주변에 근대도시가 발달하면서 인구가 증가하기 시작했고, 미개간지의 간척사업도 인구증가를 촉진했다. 1924년 진위군(현 평택시) 인구조사를 보면 평택지역에는 11,577호에 63,090명이 거주해 호구총수를 작성 했던 130여 년 전보다 인구가 두 배로 늘어났다. 평택역 주변 도심지역인 병남면이 7,192 명으로 가장 많았고, 1980년대까지만 해도 평택보다 인구가 많았던 송탄면은 5,777명 이 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인이나 중국인도 많았다. 인구조사표에는 일본인이 180호 626명이 었으며 중국인은 110명이었다. 당시 평택에 거주했던 일본인들은 관료·교사·경찰·지 주·마름 등 다양했고 중국인들은 돈을 벌기 위해 단신으로 건너온 사람이 많아 여성보다 남성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상업과 간척사업으로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었고 1933년이 되어서야 평택지역 인구는 7만 명을 돌파했다. 1948년에도 10만 명(92,751명)이 채 되
지 않았다. 6·25 한국전쟁 중인 1951~52년 사이 신장동과 팽성읍 일대에 미군기지가 주둔하자 월남한 피난민들이 평택 곳곳에 정착하기 시작했다.5)

한국연감(1956년도) 통계에 나타난 해방 후 평택인구는 101,307명이고 1960년 인구는 15만 5천여 명으로 1955년 이후 연평균 5.98%의 인구증가율을 보인다. 이는 해방 후 이북 월남민이 유입되고 1·4후퇴 시 이북 피난민의 집단 정착인구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이후 팽성읍 K-6 캠프 험프리스와 신장동 K-55 오산에어베이스 주변에 기지촌이 형성되면서 유동인구가 집중하는 현상이 나타났고 이들 지역을 중심으로 거주인구가 급증해 1966년까지 연평균 3.53%의 인구증가율을 보였다. 1970년 상주인구 조사가 시작되면서부터 1975년까지 연평균 2.54%의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도시지역에서의 인구증가로 1981년 7월 1일 송탄읍이 송탄시로 승격 분리됐고 1986년 1월 1일 평택읍이 평택시로 승격 분리됐다. 주요 택지개발사업이 있었던 1990년대 전반기에 연평균 인구증가율은 2.95%로 매우 높아졌다. 그러나 경기도내 주변 도시에서의 신도시개발 영향으로 2000년대 들어서는 1%대의 인구성장율로 정체를 보이고 있다.

인구밀도는 1980년 570.1인/㎢에서 1990년 619.5인/㎢, 2000년 793.9인/㎢로 높아졌고 2010년 923.0인/㎢으로 점차 과밀해지고 있으나 경기도의 2010년 평균 1,187인/㎢ 보다는 낮고, 경기도 남부 도시평균 1,518인/㎢과는 큰 차이를 보인다.6)



[표2] 평택시 인구현황

(단위 : 명)

연도 경기도 인구수 평택시 인구수 남자 여자 성비 인구 증가율(%) 인구 밀도 (인/㎢) 행정구역 (㎢)
1955 2,359,558 120,021 58,833 61,188 0.96 - - -
1960 2,748,765 155,879 78,223 77,656 1.01 5.98 - -
1966 3,102,325 188,863 95,079 93,784 1.01 3.53 - -
1970 3,353,272 199,700 97,443 102,257 0.95 1.43 - -
1975 4,034,707 225,077 112,465 112,612 1.00 2.54 - -
1980 4,930,335 234,356 117,129 117,227 1.00 0.82 570.1 410.68
1985 4,792,617 246,870 124,358 122,512 1.02 1.07 572.0 431.64
1990 6,154,359 271,826 137,205 134,621 1.02 2.02 619.5 438.80
1995 7,637,942 311,940 157,703 154,237 1.02 2.95 737.3 437.58
2000 8,937,752 342,806 172,052 170,754 1.01 1.98 793.9 452.31
2005 10,341,006 374,262 189,554 184,708 1.03 1.84 864.0 452.20
2010 11,196,053 381,731 193,189 188,542 1.02 0.40 923.0 454.63


[그림 1] 경기도와 평택시 인구증가 비교

[그림 1] 경기도와 평택시 인구증가 비교


경기도의 인구증가추세와 비교하기 위해 [그림 1]을 보면, 증가추세선의 각도가 급격히 높아지는 1990년대는 성남시, 고양시 등의 신도시 건설과 2000년대 용인시와 화성시에서 의 택지개발사업으로 인해 경기도인구가 특정 도시에서 급증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 도시의 인구성장은 상대적으로 평택시의 인구증가를 정체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표 2]7)에서 인구의 성비를 보면, 1955년 6·25 한국전쟁 직후 성비는 0.96으로 여성인구비율이 높았으며 1980년 1.0으로 균형을 이루어 1985년은 성비가 1.02로서 남성인구가 증가했다. 2010년까지도 여성인구보다 남성인구가 많다.



주석

3) 송탄시, 『송탄시사(松炭市史)』, 1994. pp.75~77.
4) 송탄시, 『송탄시사(松炭市史)』, 1994. p.76.
5) 김해규, 『평택 역사산책』, 평택시민신문, 2013, p.130.
6) 평택시, 『2011평택통계연보』, 2012, p.453.
7) 통계청, 『인구총조사』, 각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