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시대와 평택시의 성장 > 역사

본문 바로가기
역사 > 현대 >현대사회와 평택의 변화 >지방자치시대와 평택시의 성장
■ 지방자치시대와 평택시의 성장

본문

그동안 분리됐던 평택군·송탄시·평택시는 1995년 5월 10일 통합평택시로 출범했다. 의회도 ‘공직선거 및 부정선거 방지법’ 제28조 제2호의 규정에 의해 기존의 평택군·송탄시·평택시 의원은 신설 통합시 의회 의원으로 잔여임기 동안 재임하도록 해 통합시의 발족과 동시에 평택시 의회 개원식을 거행했다.
통합 이후 평택시는 통합과정에서 겪었던 갈등을 봉합하고 지역 화합을 도모해야 했다. 평택시는 지역현안 문제에 대해 상호조정 및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주요 정책현안 설명회를 개최했다. 또 ‘시민의 소리실’을 설치·운영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매체를 이용해 통합과정에서 갈등을 봉합하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전개했다. 이러한 노력으로 평택시는 각 부문에서 성장했다. 먼저 인구가 다음과 같이 변화했다.


[통합 평택시 행정구역 인구 및 면적의 변화] 189)


연도 면적(㎢) 세대 인구(명) 인구밀도
(㎢)
세대당
인구수
1995 437.58 102,182 322,637 163,032 159,605 737 3.2
2000 452.31 118,218 359,073 181,117 177,956 794 3.0
2005 453.06 141,108 383,976 195,046 188,930 848 2.7
2010 455.73 165,745 419,457 212,580 206,877 923 2.5


3개 시군통합 개청식(구 평택군청사, 1995년 5월 10일)

| 3개 시군통합 개청식(구 평택군청사, 1995년 5월 10일) |



평택시의 면적은 통합 이후 18.15㎢ 가 증가했다. 2010년을 기준으로 볼 때 면적 증가는 거의 없다고 할 수 있 으나 세대수는 63,563세대, 인구는 96,820명이 각각 증가했다. 이를 1995 년과 비교하면 세대수는 62.2%, 인 구는 30%가 증가했다. 경기도 전체 와 비교하면 1995년 경기도의 인구는 7,649,741명, 2010년은 11,460,610 명으로 2010년 경기도 인구는 1995년 에 비해 약 49.8%가 증가했다. 이로 보아 통합 평택시 인구는 경기도 인구 증가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평택지역이 수도 서울과 비교적 멀리 떨어져있다는 지리적 조건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안양·성남·수원 등지에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급증한 것과 무관하지 않다. 농업인구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평택시 농가 및 농가인구] 190)


구분 가구수 인구수
연도 농가 비농가 농가 비농가
1995 102,182 13,544
(13.3%)
88,638
(86.7%)
322,637 50,008
(15.5%)
272,629
(84.5%)
2000 118,218 13,159
(11.1%)
105,059
(88.9%)
359,073 45,231
(12.6%)
313,842
(87.4%)
2005 141,108 11,929
(8.5%)
129,179
(91.5%)
383,976 40,656
(10.6%)
343,320
(89.4%)
2010 165,745 11,106
(6.7%)
154,639
(93.3%)
419,457 33,967
(8.1%)
385,490
(91.9%)

소사들에서 바라 본 평택시가지 전경

| 소사들에서 바라 본 평택시가지 전경 |



평택시의 농가는 1995년에 비해 2010년에는 50% 이상 감소했다. 이는 다음의 경지면적 의 변화에서도 확인된다.


[평택시 경지면적의 변화] 191)

(단위 : ha)

연도 합계 가구당 경지면적
1995 23,758 18,341 5,417 1.75 1.35 0.4
2000 23,036 17,540 5,496 1.75 1.33 0.42
2005 22,444 17,121 5,323 1.89 1.44 0.45
2010 20,001 14,768 5,199 1.80 1.33 0.46


쌍용자동차

| 쌍용자동차 |



평택시의 2010년 현재 경지면적은 1995년보다 약 3,757ha 감소했다. 이 중 논은 3,573, 밭은 218ha가 감소해 감소된 경지면적 대부분을 논이 차지하고 있으나 가구당 경 지면적은 2010년 현재 1.80ha로서 1995년의 1.75ha보다 확대됐음을 알 수 있다. 이는 1 가구당 경작면적이 확대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이러한 변화가 지주제 정착으로 이어 진 것은 아니다. 경작면적 자체가 여전히 소농경영에 머물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경지면적이 축소된 것은 평택지역에서 공업화가 진행돼 각종 공장이 들어서 고, 택지개발이 이어져 대규모의 주택단지가 들어섰기 때문이다. 1995년 쌍용자동차공장 이 위치하고 있는 칠괴동 일대 68만㎡가 지방공업단지로 지정192)됐고, 1996년에는 평택현 곡지방공업단지가 지정됐다.193)이로써 평택지역에는 대규모 공업지구가 탄생했다. 쌍용자 동차 평택공장은 1979년 12월 주 생산라인이 완공돼, 연간 1만 5천 대의 생산을 목표로 버 스와 특수·특장차 생산에 박차를 가하기 시작했다. 고속버스와 관광버스를 비롯해 트랙 터·트레일러·탱크로리·믹서트럭 등 산업물자 수송용 차량 위주로 130여개 차종을 개 발·생산했다. 1986년 12월 10일에는 평택공장 기술연구소를 개소했다. 이와 같은 공업단 지 설치에 따라 대규모 공장이 들어서고 노동자들이 유입됨에 따라 새로운 주택 건설이 필 요했던 것이다. 그러므로 평택지역에서는 새로운 택지개발사업이 공영개발 형식으로 이뤄졌다. 따라서 경지면적이 축소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기도 했다.


[공영개발 세부사업별 추진사항] 194)


사업명 총투자비(백만 원) 사업량 개발기간
합계 1,871,978
30건
8,385,615.7
L=2.39㎞ B=20~40
분양 1,950
 
완료 1,236,547
택지  8, 아파트 6
산단 5, 도로 1
4,845,114㎡
L=1.15㎞ B=20~25
분양 1,950
 
추진 중 635,431
주거 3, 산단 2, 유통 1
토지구획 3, 도시개발 1
3,540,501.7
L=1.24㎞ B=40m
 
1. 택지개발사업 870,818 2,907,381  
지산1택지
지산2택지
이충택지
비전택지
세교택지
합정택지
안중택지
송화택지
45,474
41,056
39,736
96,150
158,115
45,090
309,005
136,177
263,366
235,876
199,091
453,143
417,592
111,829
942,938
283,546
 

1889. 12. 15~1991.  12. 31
1991. 3. 2~1992.  12. 31
1992. 12. 22~1995.  9. 30
1991.  1. 16~1993.  12. 31
1991.  11. 11~1995.  12. 31
1996.  1. 24~1999. 6. 30
1994. 8. 20~1999.  3. 30
1994. 4. 25~2001.  5. 31

2. 주거환경개선 27,201 265,261  
적봉지구
목천지구
원평 2지구
3,110
5,719
18,372
41,610
51,390
172,261
 

2002. 1~2006. 6
2002. 1~2006. 6
1997. 7~2006. 6

3. 산단개발사업 549,969 3,776,989  
평택산단
장단산단
칠괴산단
추팔산단
진위산단
오성산단
현곡산단
38,079
13,137
102,613
90,126
152,447
122,252
31,315
534,798
149,719
643,614
609,602
499,254
600,002
730,000
 

1991.  1. 20~1993. 12. 31
1994. 3. 4~1997.  4. 30
1994. 1~2000. 3. 31
1994. 1~2000. 9. 30
2003~2007. 12
2004. 1~2007. 12
1993. 1~2003.  6. 30

4. 유통단지(평택) 87,621 485,194㎡
L=1.24㎞ B=40m
 

2002. 6~2007. 12

5. 도시개발(용이지구) 91,606 661,979  

2003. 12~2009. 12

6. 칠괴우회도로 5,923 L=1.15㎞ B=20~25m  

1996. 10~2002. 5

7. 토지구획정리 154,304 1,294,072.7  
서재지구
배미지구
안중·송담지구
57,766
20,931
75,607
497,915
137,737.7
658,420
 

2002. 6~2009.  12
2003. 6~2009.  4
2003. 9~2011. 12


서재지구 택지개발(2009)

| 서재지구 택지개발(2009) |



평택지역에서는 통합이 이루어지기 이전부터 지산1택지·지산2택지·이충택지·비전택 지·세교택지·합정택지·안중택지·송화택지 등 택지개발사업과 평택산업단지·장당산업단지·칠괴산업단지·추팔산업단지·현곡산업단지 등 산업단지개발이 진행됐다. 통합이 이루어진 1995년 이후에는 적봉지구·목천지구·원평2지구 등에서의 주거환경개선사업과 평택유통단지·칠괴우회도로 건설·용이지구 도시개발 등이 이뤄졌다. 또한 서재지구·배미지구·안중송담지구 등의 토지구획정리사업도 이뤄졌다. 택지개발사업과 산업단지개발은 통합 이전부터 추진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으나 주거환경개선사업과 유통단지·우회도로의 건설·토지구획정리사업 등은 통합 이후에 행해졌음을 알 수 있다. 명확히 구분하기는 어려우나 통합 이후 통합 이전의 갈등을 봉합하려는 노력은 행정적인 측면과 함께 지역개발사업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평택지역 주택수의 변화] 195)


연도 인구수 가구수 주택수(호) 무주택가구 주택보급율(%)
1995 322,637 102,182 86,270 15,912 84.4
2000 359,073 118,218 90,683 27,535 76.7
2005 383,976 141,108 116,209 24,899 82.3
2010 419,457 165,745 141,115 24,630 107.1

평택시의 주택은 인구와 가구 수의 증가에 따라 급격히 증가했다. 이에 따라 평택시는 상수도의 정비·도로의 정비 등 도시계획 필요성이 증가했고 상수도 보급률이 증가했다.


[평택시 상수도 현황]


연도 총인구(명) 급수인구(명) 보급률(%) 시설용량 (㎡/일) 급수량(㎡/D) 1일 1인당 급수량(ℓ)
1995 322,637 233,407 72.3 143,400 80,258 344
2000 359,073 285,822 79.6 275,600 111,530 390
2005 383,976 317,311 82.6 244,300 118,083 372
2010 419,457 398,576 92.3 344,000 144,033 362

상수도 보급률은 1995년 72.3%에서 2010년 92.3%로 평택시 통합 이후 20%가 증가해 통합효과가 평택 각 지역에까지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설용량도 143,400(㎡/ 일)에서 344,000(㎡/일)로 증가해 약 2.4배의 증가가 있었다. 급수량도 80,258(㎡/D)에 서 144,033(㎡/D)로 1.8배가 증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일 1인당 급수량은 1.05배에 그쳤다.


[평택시의 도로 현황] 196)

(단위 : m)

연도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시군도
1995 485,306 6,300 78,380 115,600 285,026
2000 616,062 22,090 111,608 115,540 366,824
2005 797,877 42,240 118,862 117,940 518,835
2010 743,575 49,680 136,470 107,400 450,025

평택항

| 평택항 |



평택시의 도로 길이도 1995년 485,306m에서 2010년 743,575m로 연장됐다. 특히 고속 도로는 1995년 6,300m에서 2010년 49,680m로 늘어 무려 7.89배나 연장됐다. 고속도로 연장은 기존의 경부고속도로 외에 평택~충주간 고속도로, 평택~서수원간 고속도로 등의 건설에 따른 것이었다. 평택은 새로운 교통의 중심지로 탄생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평택지역에 고속도로가 새로 건설된 것은 1989년부터 2020년까지 32년간 총 사업비 4조 3,408억 원을 투입해 개발 중인 아산만권 광역개발권역의 핵심사업인 평택항 개발 및 평택 각지에 조성된 공업단지건설과 관련이 깊다고 할 수 있다. 평택항은 새로운 물류의 중심지로서 2005년의 경우 42,989,000톤의 화물을 처리했다. 자동차가 745,825대, 컨테이너가 231,015개, 카페리 승객이 181,540명이었다.197) 화물과 승객을 담당하는 항로는 국제컨테이너항로는 평택~천진, 평택~대련~위해, 평택~상해, 평택~상해(홍콩), 평택~연태, 평택~남중국, 평택~상해(영파)가 있으며 국내항로 평택~광양~부산 항로가 있다. 국제카페리 항로로는 평택~영성, 평택~일조 항로가 있어 중국과의 화물과 여객 수송에서 평택항이 차지하는 비중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서해안시대에 발맞춰 발전하는 평택지역의 상징적인 모습이라고도 할 수 있다. 통합 이후 평택시는 시민들의 휴식공간으로서 각지에 공원을 조성했다.


sk뷰공원

| sk뷰공원 |



[평택시의 공원 현황] 198)

(단위 : ㎡)

연도 어린이공원 근린공원 도시자연공원
개소 면적 개소 면적 개소 면적 개소 면적
1995 45 204,000 4 89,000 5 115,000    
2000 76 575,000 58 126,000 18 449,000    
2005 76 603,000 57 126,000 19 478,000    
2010 100 1,015,000 71 169,000 29 846,000 1 60,000

평택시의 공원은 통합 당시인 1995년 45개소에 불과했으나 2010년에는 100개소로 2배 이상 증가했다. 어린이공원은 4개소에서 71개소로 늘어 평택시 공원 증가의 대부분을 어 린이 공원이 차지하고 있다. 이는 아파트 건설이 급증하면서 아파트 주변에 어린이 공원을 주로 설치한 것과 관련 있다.
1995년 통합 평택시 이후 평택시는 양적·질적인 측면에서 성장했다. 통합 이후 평택시가 지향했던 개발과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매우 긍정적인 측면이라 할 수 있다.





(조성운_동국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김세중, 「5·16과 산업화 체제의 대두-그 역사적 의미와 권위주의적 정치동학을 중심으로」, 『정신문화연구』, 2005.

송인상, 『부흥과 성장』, 21세기북스, 1994.

김영선, 『민주당 복안의 골자』

김영미, 「평택 칠원마을이 최우수 새마을이 된 사연」, 『역사와 현실』74, 한국역사연구회, 2009.

김영미, 「어느 농민의 생활세계와 유신체제」, 『한국근현대사연구』74, 한국근현대사학회, 2012.

김영미, 『평택 대곡일기』를 통해서 본 1960~70년대 초 농촌마을의 공론장, 동회와 마실방」, 『한국사연구』 161, 2013.

『제2회 통계연보』, 평택군, 1962.

『제17회 통계연보』, 평택군, 1977.

조명숙, 「기지촌 여성들에 대한 여성신학적 접근 : K-55 미 공군 오산기지를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홍성철, 『유곽의 역사』, 페이퍼로드, 1972.

『평택시민신문』, 2005.

『황성신문』, 1905년 1월 7일.

『매일신보』, 1911년 9월 14일.

朝鮮總督府土地改良部, 『朝鮮土地改良事業要覽』, 1928.

朝鮮總督府土地改良部, 『朝鮮の土地改良事業』, 朝鮮印刷株式會社, 1927.

朝鮮總督府土地改良部, 『朝鮮土地改良事業要覽』, 1928.

『朝鮮銀行會社要錄』, 1923년.(출처:국사편찬위원회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

「會社設立許可」, 『朝鮮總督府官報』, 1913년 7월 4일.

동아일보』, 1935년 7월 3일.

『朝鮮新聞』, 1935년 7월 3일, 「会社を解散して自作農の創定へ 振威興農会社の大英
断」

『朝鮮銀行會社要錄』, 1927년.(출처:국사편찬위원회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

「朝鮮公有水面埋立令二依ル處分事項」, 『朝鮮總督府官報』, 1928년 11월 6일.

「우리는 왜 무상양도를 주장하는가!」, 『농성소식』 제4호, 평택도두지구 토지반환대책위원회, 1988년 12월 9일,

『고덕면지』, 평택문화원·고덕면지편찬위원회, 2007.

『농성소식』, 제4호, 평택도두지구 토지반환대책위원회, 1988년 12월 9일.

『경기일보』, 2000년 1월 4일.

평택시통합사편찬위원회, 『평택시통합사』, 황금알, 2006.

강휘원, 「평택시 시군통합의 평가와 과제」,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한국행정학회, 2006.

내무부, 『행정구역백서(1994~1995)』 1995.

『성명서』, 3개시·군통합 평택군 운동본부.

『3개 시군(평택군·송탄시·평택시) 통합 반대 이유』, 3개시·군통합반대추진위원회.

『관보』, 제12960호, 1995년 3월 11일, 「송탄칠괴지방공업단지지정및개발계획승인(경기도고시제1995-67)」.

『관보』, 제13312호, 1996년 5월 15일, 「평택현곡지방공업단지개발기본계획변경및실시계획승인(경기도고시제1996-100호).

주석

189) 평택시통합사편찬위원회, 앞의 책, p.598 ; 『2012 평택통계연보』.
190) 평택시통합사편찬위원회, 앞의 책, p.598 ; 『2012 평택통계연보』.
191) 평택시통합사편찬위원회, 앞의 책, p.602 ; 『2012 평택통계연보』.
192) 『관보』, 제12960호, 1995년 3월 11일, 「송탄칠괴지방공업단지지정및개발계획승인(경기도고시제1995-67)」. 
193) 『관보』, 제12960호, 1995년 3월 11일, 「송탄칠괴지방공업단지지정및개발계획승인(경기도고시제1995-67)」. 
194) 평택시통합사편찬위원회, 앞의 책, pp.629~630, [표] 공영개발 세부사업별 추진사항을 재정리.
195) 평택시통합사편찬위원회, 앞의 책, p.613 ; 『2012 평택통계연보』
196) 평택시통합사편찬위원회, 앞의 책, p.615 ; 『2012 평택통계연보』
197) 평택시통합사편찬위원회, 앞의 책, p.621.
198) 평택시통합사편찬위원회, 앞의 책, p.632 ; 『2012 평택통계연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