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림리 > 마을

본문 바로가기
마을>평택의 마을>포승읍>포승읍의 자연마을>방림리
■ 방림리

본문

(2) 방림리芳林里36)


방림리는 고려시대에 신영장新榮莊이었다가 1398년(태조 7) 수원부와 양성군 승량동면에 편입됐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신영장이 수원부 남쪽 60리 지점에 있다는 기록이 있다. 또 신영장에는 칼을 제조하는 도제지刀梯池가 있다는 내용도 있어 이 마을이 칼이나 화살 등을 만들었던 수공업자 마을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칼이나 화살을 만들었던 흔적은 방림리의 살치미와 석정리 야동冶洞(풀무골), 병장골, 진터 같은 지명으로도 확인된다.


방림리에는 4개의 자연마을이 있다. 방림1리는 진틀이다. 진틀은 이평이라고도 부르는데 역사적으로는 이평이 더 오래됐다. 현덕면 운정리와 붙어 있어 언뜻 구별되지 않는다. 2리와 3리는 상전촌과 하전촌이다. 두 마을은 본래 ‘전촌리’라고 해 같은 마을이었다. 전촌箭村은 우리말로 살치미다. 살치미란 ‘살을 치던 마을’, 다시 말해서 화살을 만들던 마을이라는 뜻이다. 살치미에서는 화살과 함께 칼도 만들었다. 방림4리 뱅골은 방림리의 본디 지명인 방곡(골)에서 유래됐다. 방골은 농경지가 확대되면서 새로 형성된 마을이라는 뜻이기도 하고 주변에서 가장 번화한 중심마을이라는 의미로도 해석된다.


방림1, 2리 살치미는 방림리의 중심마을이다. 고려시대 신영장에 속해 칼과 화살을 만들 었다. 장은 고려시대의 특수행정구역이다. 살치미는 윗살치미(1리)와 아랫살치미(2리)로 나뉜다. 두 마을은 각각 30여 호쯤 됐는데 요즘에는 50호를 상회한다. 함평이씨가 대성大姓이고 고령신씨와 수성최씨도 섞여 산다.


윗살치미는 성너머라는 이름으로도 부른다. 또 희곡리에서 넘어 오는 고개를 성문고개라 고 해 마을 주위에 성곽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관리가 거주하는 중심지를 성이라 하 고 주변을 성밖·성너머 등으로 부르는 관행 때문에 유래된 지명일수도 있다. 윗살치미는 방아다리·일자말·성너머로 구분된다. 또 마을을 비보하는 대덕산도 큰대덕산·작은대 덕산으로 나눈다. 대덕산 아래에는 옛 절의 흔적이 있다. 주민들은 절골이라고 부른다. 군 사적 지명인 수문장땡, 선달과 같은 예사롭지 않은 지명도 있다.


아래살치미는 큰말·양성말·돌팍재·넘말(너머말)로 나뉜다. 마을 전체가 40∼50호에 불과하고 여러 마을로 흩어져 있어 전체 규모를 한 눈에 파악하기가 어렵다. 함평이씨가 대부분이지만 본래는 김해김씨가 대성大姓을 이루었다. 함평이씨가 마을로 들어온 것은 9 대 250여 년 전이다. 영조 때로 붕당정치가 일당전제화되고 개간사업으로 농경지의 저지 대 확산이 활발해 동족마을 형성이 두드러졌던 시기다.


뱅골의 자연마을은 동녘말·새터·일자말이 있고, 새터는 중새터·상새터로 구분된다. 마을은 여러 개지만 호 수는 40여 호다. 함양박씨가 대부분인데 해방 전후에는 박씨만 살았다고 한다. 함양박씨는 오백여 년 전, 처음에는 현덕면 대안리 박골에 정착했다가 나 중에 방림리로 이거했다. 방림리를 비보하는 산은 대덕산이다. 대덕산은 예부터 신령한 산 으로 여겨졌다. 산에는 살치미의 당집이 있다. 대덕산에서 뱅골 쪽으로 나 있는 농지는 마답馬畓이다. 마답은 근대 이전 목장토였을 가능성이 크다. 일제강점기 방림 3리 하전촌에 는 4년제 강습소가 있었다.



근대 이전 화살을 제조했던 방림1, 2리 살치미(2008)

| 근대 이전 화살을 제조했던 방림1, 2리 살치미(2008) |



주석

36) 박원환(68세), 2005년 방림4리 경로당에서 인터뷰
      이계옥(78세), 이경헌(70세), 이양헌(76세), 이민필(72세), 2007년 8월 방림1리 경로당에서 인터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