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관 > 마을

본문 바로가기
마을>평택의 마을>진위면>개관
■ 개관

본문

조선시대 평택지역은 안성천과 진위천을 경계로 진위현·평택현·서평택 지역으로 나뉘었다. 진위현은 오늘날의 평택·송탄지역·고덕면·진위면·서탄면을 아우르던 아주 넓은 고을이었다. 삼국시대 송촌활달·연달부곡·금산 등으로 불렸다가 5세기 고구려가 한강이남지역을 지배하면서 부산현으로 바뀌었다. 진위라는 지명은 삼국통일 후 신라 경덕왕 때부터 사용됐다.


진위현의 중심은 봉남리다. 조선후기에는 읍내면, 갑오개혁 후에는 군내면이었다가 1914년 이후 진위군 북면 봉남리가 됐다. 북면이 진위면으로 바뀐 것은 1948년 4월이다. 진위면은 11개 법정 리 36개 행정리, 114개 반으로 구성됐다. 인구는 2012년 6월 말 현재 5,860호 13,567명이며 남자가 7,156명, 여자가 6,411명으로 남성이 많다.


진위면의 주산은 무봉산이다. 무봉산의 남쪽에는 병풍산과 부산이 있고 진위천 남쪽은 덕암산·태봉산·천덕산이 비보하고 있다. 진위천은 조선시대 장호천 또는 귀천이라고 불렀으며 장호들과 건넌들을 비롯해 진위면 일대의 젖줄이 되고 있다. 하북리 서쪽의 오산천은 조선시대 토현천이라고 했다. 1974년 아산만방조제가 준공되기 전까지만 해도 오산천까지 바닷물이 유입됐으며, 조선시대에는 갈곶리와 청호리 일대까지 바닷물이 올라갔고 배가 드나들었다.


봉남리는 1,500년 이상 평택지역 정치·행정의 중심이었다. 근대 이전 만해도 관아와 향교, 객사 등 주요 공공시설이 이곳에 있었으며 관원과 아전, 공장工匠이나 상인 등 신분적으로 특수한 역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거주했다. 옛 고을의 중심답게 문화유산과 동족마을이 많고 유력한 인물이 많이 배출됐다. 동족마을은 삼봉 정도전의 후손인 은산리의 봉화정씨, 고려 말 학자 우현보의 후손인 마산리의 단양우씨, 백사 이항복의 증조부 이성무와 숙종·경종 때 재상을 지낸 이광좌, 이태좌의 후손인 가곡리·마산리·송북동 동막의 경주이씨, 가곡리의 안동권씨 등이 있다. 문화유산으로는 진위향교를 비롯해 보물 제567호 철조여래좌상을 모신 만기사가 있다.


공공시설은 면소재지인 봉남리에 집중돼 있다. 봉남리에는 진위면사무소·진위우체국·진위초등학교·진위 119안전센터·송탄농협 진위지점·진위천시민유원지·조선시대 문화유산인 진위향교가 있다. 동천리에는 무봉산청소년수련원·만기사가 있으며, 하북리에는 진위역·에바다학교, 은산리에는 진위초등학교 산대분교, 가곡리에는 진위중·고등학교가 있다.


근대이전 진위면의 산업은 봉남리 읍내장을 중심으로 하는 상업과 장호들, 건너들을 중심으로 하는 농업이 중심이었다. 근대이후 철도교통로에서 밀려나면서 상업이 쇠퇴했다. 해방 뒤 진위천 변을 중심으로 수박과 참외 재배가 대규모로 시작됐다. 근래에는 하북리·야막리·신리를 중심으로 비닐하우스 재배에서 생산되는 배추·애호박·방울토마토·쌈채소 재배가 유명하다.


진위면은 1960년대 하북리에 홍원제지(주)가 설립된 뒤로 견산리에 매일유업(주)과 한국야쿠르트(주), 신리에YKK(주), 한국번디(주), 가곡리에 롯데제과(주), 청호리에 LG전자 디지털파크와 진위일반산업단지, 마산리의 방주광학 등이 들어서면서 산업과 근교농업이 함께 발달한 복합도시로 변모하고 있다. 기존의 국도 1호선과 317 지방도(삼남로) 외에도 용산~천안(신창) 간 수도권전철 진위역이 설치되면서 철도교통과도 연계돼 발전 가능성이 높다.



진위면사무소 옛건물

| 진위면사무소 옛건물 |



옛 진위현의 관아 터였던 진위면사무소(2013)

| 옛 진위현의 관아 터였던 진위면사무소(2013) |



진위면의 중심 봉남리 원경(2013)

| 진위면의 중심 봉남리 원경(2013) |



하북에서 견산리 방향 원경(2006)

| 하북에서 견산리 방향 원경(2006) |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