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 전래 > 종교

본문 바로가기
종교>유교>유교 전래
■ 유교 전래

본문


유교는 불교와 함께 삼국시대에 우리나라에 전래됐다. 고구려 372년(소수림왕 2) 태학을 세워 유학을 교육했다는 기록으로 보아 그 이전에 우리나라에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인들은 유학의 『오경』, 『삼사』, 『삼국지』 등을 읽었으며, 담징은 일본에 건너가 명화를 그렸다. 『일본서기』에 의하면 오경에 능통하고 회화에 능했으며 종이·먹·색채·맷돌을 만들었다 한다.
신라는 682년(신문왕 2) 국학을 설립해 『논어』와 『효경』 등 유학 경전을 가르쳤다. 신라 진흥왕 시기에 건립된 순수비에는 『논어』에 나오는 ‘수기이안백성修己以安百姓’과 같은 유교 용어가 많다.
백제는 285년(고이왕 62), 왕인王仁이 『논어』, 『천자문』, 『주역』, 『산해경』을 가지고 일본으로 건너가 황태자를 교육하고 문자와 유교사상을 처음으로 일본에 전했다. 이런 사실로 볼 때 백제는 신라나 고구려보다 앞서서 학교가 설치된 것으로 보인다.
고려 말엽부터 조선 초기에는 성리학이 도입됐다. 당시 학자들은 유학에 관한 조예는 물론 불교와 도교에 관한 조예도 상당히 깊었다. 고려 말에 이르러 불교가 타락하고 사회가 퇴폐해지자 조선 태조 이성계는 배불숭유排佛崇儒 정책을 시행해 중앙에 성균관을 세우고 지방에 향교를 건립해 유학을 장려했다. 조선 초기 유학은 주자학을 익히면서 성리학 전성기로 옮겨가는 과도기다. 정몽주 이후 학맥을 이어 조광조에서 대성한 도학사상은 성리학으로 발전하면서 조선 중기에 이르러 전성기를 맞았다.
조선후기에 이르러 유학은 이론적으로 추상화되고 현실을 도외시한 공리공론을 일삼았다. 학파와 정치적 당파가 혼선을 일으켰고 당쟁의 도구로 타락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 한 폐단을 바로잡기 위해 일어난 것이 실사구시實事求是 실학이다.13)



주석

13) 『한국유교』, 성균관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