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탄면 > 평택시 지명유래

본문 바로가기
평택시 지명유래 > 서탄면
■ 서탄면

본문


금각리金角里


조선시대 진위군 이탄면 지역. 1914년 금각리·농소리·황구포리를 통합해 금각리라했다.



• 금각金角 : 금각1리 마을의 주변 지형이 와우형蝸牛形이고 마을이 쇠뿔牛角에 해당된다고 ‘쇠뿌리’로 부르던 것을
     한자로 ‘금각金角’이라 했다.

• 용소리龍沼里 : 본래 ‘농소리’, ‘용수말’이라고 한다. 용소마을에는 샘이 두 개가 있었는데 용의 눈과 같아서
     유래됐다. 주변이 개간되고 우물이 경작지로 바뀌면서 ‘농소리’로 바뀌었다.

• 하금각下金角 : 금각2리의 마을. ‘아래쇠뿌리’라고도 불렀지만 K-55 미공군기지 확장으로 폐동됐다.



금암리金岩里


조선시대 진위군 이서면 지역. 마을 입구에 북바위가 있어 ‘종암’, ‘북바위’ 등으로 부르다가 한자로 ‘금암金岩’이라고
    표기했다. 1914년 내리·신리를 통합해 금암리라고 했다.



• 금암金岩 : 마을의 형국이 금닭이 알을 품고 있는 금계포란형金鷄抱卵形이며 마을 옆 산에 북바위라는 암석이
     있으므로 두 가지 특징을 따서 ‘금암’이라 했다고 한다.

• 골안말 : 금암1리의 우리말 이름. 골짜기 안쪽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이다.

• 내리內里 : 금암2리의 우리말 이름. 마을 가운데 산마루 안에 있다는 뜻이다.

• 안말 : ‘내리’의 우리말 이름.

• 신리新里 : 금암3리의 마을. 우래 전에 청주 한씨가 정착하면서 새로 생긴 마을라는 데서 유래했다고 한다.

• 새말 : 신리의 우리말 이름. ‘새마을’이라고도 한다.



내천리奈川里


조선시대 진위군 이서면 지역. 1914년 웃머드내·아랫머드내를 통합해 내천리라 했다.



• 내천리 : 황구지천 변에 버드나무가 많아 ‘머드내’라 부르던 것을 한자로 ‘내천奈川’으로 표기했다.

• 내천奈川 : 옛날 내천리를 지나가던 길손이 황구지천을 건너려다가 물살이 세고 험하자 망연히 서서
     ‘어찌하리오奈河’라고 탄식하면서 유래됐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 상내천上奈川 : 내천1리의 마을. ‘웃머드내’라고도 부른다.

• 하내천下奈川 : 내천2리의 마을. ‘아랫머드내’라고도 부른다.



마두리馬頭里


조선시대 진위군 일서면 지역. 1914년 마두리라 했다.



• 마두馬頭 : 자연지명은 ‘말머리’라 한다. 서탄면의 전체 형국이 말의 모양인데 마두리는 머리 부분에 해당된다고
     해서 유래됐다.

• 나비들 : 마두2리의 자연지명. 장춘동이라고도 한다.

• 장춘동長春洞 : 마두2리의 다른 지명. 한국전쟁 뒤 피난민 정착사업소가 설치되면서 ‘사업소’ 또는 실향의 아픔은
     나비가 오랜 겨울을 지나 따뜻한 봄을 기다리는 것과 같다는 뜻에서 ‘장춘’이라고 부르면서 유래됐다.



사리寺里


조선시대 진위군 이서면 지역. 1914년에 서탄면 사리라 했다.



• 사리 : 절골의 한자지명이다.

• 쪽박산 : 오산천 변에 있었던 해발 10m의 산. 하천정비공사로 사라졌다.

• 모장산 : 사리매고개 너머에 있는 산.

• 백두고개 : 절골에서 수월암리 넘어가는 고개.

• 장포살미 : 창포가 많이 자라는 들판.



수월암리水月岩里


조선시대 진위군 이서면 지역. 1914년 수월암리·도도리道道里·종복리宗卜里를 통합해 수월암리라 했다.



• 수월암水月岩 : 전설에 따르면 마을에 살던 청춘과부가 독수공방으로 기나긴 밤을 지새 우기가 힘들어 마음을
     달래다가 고요한 달밤 산 밑으로 흐르는 냇물에 비치는 달무리에 취해 ‘개울물은 바위를 굽이쳐 흐르는데 둥근 달은
     고요하다’라고 읊펐는데 이것을 지명으로 삼았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 거리미 : 수월암1리의 자연지명. 도도리와 구별해 ‘뒷거리미’라고도 한다. 거리미란 길가에 형성된 마을을 의미한다.

• 도도리道道里 : 수월암2리의 마을. ‘거리미’ 또는 ‘앞거리미’의 한자지명이다.

• 심교深橋 : 수월암3리의 마을. 낮은 돌다리를 놓아 건너다녔다 하여 ‘깊은다리’ 또는 ‘심교’라 한다.



장등리長登里


조선시대 진위군 이탄면 지역. 1914년 장등리·구억리·야리野里를 통합해 장등리라 했다.



• 장등長登 : 옛날 큰 홍수가 났을 때 황구지리 일대 주민들이 긴 구릉지대로 옮겨와 정착하면서 유래됐다.

• 원장등元長登 : 장등1리의 마을. ‘진등이’라고도 부른다. 본래 K-55 미공군기지 안 은행나무 주위의 구릉 지대에
     마을이 형성됐지만 1952년 미군기지 주둔으로 뒷산 산등성이로 집단 이주했다.

• 구억리九億里 : 장등2리의 마을. 구석에 마을이 형성돼 ‘구억’ 또는 은행나무 정자가 있어서 ‘으능쟁이’라고 한다.
     옛날 큰 부자가 아홉 가지 덕을 쌓았던 마을이라고 해서 ‘구덕리’라고 했다는 설도 있다.



적봉리赤峰里


조선시대 진위현 이탄면 지역. 1914년 적봉리·신야리를 통합해 적봉리라 했다. 적봉이라는 지명은 뒷산 봉우리가 붉은 황토색이어서 유래됐다.



• 원적봉 : 1952년 K-55 미공군기지 건설로 마을 뒤 산등성이에 집단 이주했다가 미군기지 확장으로 대부분
     이주했고 한국전쟁 뒤 형성된 마을만 서정동에 편입됐다.

• 신야리 : 해정들에 형성된 마을. 야리 옆 벌판에 마을이 형성됐다고 해서 ‘신야리’, ‘벌해쟁이’ 등으로 불렸는데
     1952년 미군기지 확장으로 폐동됐다.

• 가마골 : 천주교 ‘교우촌’. 숯을 구워 팔았기 때문에 유래됐다.



황구지리黃口池里


조선시대 수원군 율북면 황구지. 1914년 서탄면 황구지리가 됐다. 황구지리라는 지명은 조선시대 항곶포에서
     유래됐다. 황구지리는 K-55 미공군기지 확장 계획에 따라 2009년경 고덕면 당현리로 집단 이주했다.



• 항곶포 : 지형이 곶이 형성된 곳에 포구가 형성되면서 유래됐다.

• 둑너머 : 진위천 제방 안쪽에 있었던 마을. 항곶포가 있던 마을인데 1971년 수해 때 황구지리 일대로 집단
    이주했다.

• 황구지들 : 황구지 남쪽에 형성된 논농사지대.

• 양성들 : 황구지리 남쪽에 형성된 논농사지대로 조선후기 양성현에 속했다.



회화리檜花里


조선시대 진위군 일서면 지역. 1914년 ‘회화정리’라고 했고 나중에 ‘회화리’로 고쳤다.
 회화리라는 지명은 마을 앞에 훼화나무 정자가 있어 ‘회화정이’ 또는 ‘회화나무정이’라고 부르던 것이 한자화된 것이다.



• 해정이 : 마을에 훼화나무 정자가 있어 ‘홰정이’, ‘회화나무정이’ 등으로 부르다가 소리나는 대로 ‘해정이’ 야리와
     구분해 ‘아래해정이’라 불렀다.

• 야리 : 진위천 건너편 K-55 미군기지 안에 있었던 마을. ‘윗해정이’라고도 불렀는데 1951년 미군기지 주둔으로
     폐동됐다.

• 소금나들 : 나들이라고도 한다. 진위천 변에 위치해 소금배가 드나들었고 해산물을 교역했던 나루터다.

• 수풀해쟁이 : 회화리 진위천 주변에 나무울타리를 심어 놓았는데 건너편에서 바라보면 마을이 수풀에 쌓인 것처럼
     보여 유래됐다.

• 한울타리 : 진위천 변에 심었던 나무 울타리.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