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농악과 민요 > 문화재

본문 바로가기
문화재>평택농악과 민요
■ 평택농악과 민요

본문

평택지역은 동쪽에 산이 집중된 반면 서쪽으로 가면서 평야와 해안에 접한 동고서저東高西低 지형이다. 간척사업과 평택호방조제 축조 이전까지 동쪽 지역은 농업, 서쪽 지역은어업을 생업으로 하는 동농서어東農西漁 산업구조였다.
『택리지』, 『조선왕조실록』 등 기록에 평택은 해일·홍수·가뭄·우박·바람 등의 자연재해가 잦은 지역으로 사람은 물론 농작물과 염분·어전·배 등의 피해가 매우 심했다.
농업과 어업은 기상환경과 자연재해 영향을 크게 받았기 때문에 평택지역은 기원과 축원문화가 발달했다. 평택 동북부지역은 풍년 농사를 위한 두레굿과 도당굿·당제·줄다리기가 성행했고, 서부 해안지역은 풍어와 해상안전을 위한 풍어제와 도당굿·당제가 민속신앙으로 발달했다.
평택은 남사당과 농악·민요·도당굿·줄다리기·거북놀이 등 공동체 민속 문화가 성행했고 다양한 분야의 전통 예인들이 활동해 오래전부터 국보급 예인이 많이 나온 곳이다.1)
조선후기 8대 명창으로 중고제의 명인 모흥갑, 조선후기 대금 시나위로 유명했던 김부억쇠, 조선후기 5대 남사당패인 진위남사당을 일으킨 유세기, 남사당 꼭두각시 예능보유자 송창선, 웃다리 지역을 대표하는 평택농악 예능보유자 최은창·이돌천, 국악 현대화의 선구자로 해금 시나위 예능보유자 지영희, 경기도당굿 대금 시나위 명인인 동령제 시나위 창 시자 방용현, 경기도당굿 남양제 대금 시나위 명인 방돌근 등 많은 전통예인들이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지키며 살아왔다.
지금도 국가지정 중요무형문화재 평택농악 김용래 예능보유자를 비롯해 많은 예인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어 평택은 가히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예향藝鄕의 고장이라 할수 있다.


+ 평택농악

+ 평택지역 민요

주석

1) 박성복, 『우리가 살고 있는 터전 평택 2011』, 평택문화원, 2011, p.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