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기문화 > 역사

본문 바로가기
역사 > 선사시대 > 철기문화
■ 철기문화

본문

우리나라 철기시대는 초기철기시대와 원삼국시대를 포함하고 있으며 기원전 300년부터 기원후 300년까지 600년 기간에 해당한다. 그러나 이 두 시기의 설정은 모두 시대적인 한계성을 반영하고 있어 고고학적인 시대구분 방법으로는 부적절하다. 철기시대는 기원전 300∼1년까지 철기시대 전기(초기 철기시대), 기원후 1∼300년까지는 철기시대 후기 즉 삼국시대 전기(원삼국시대, 삼한시대)로 설정하고 있다.24)
중부지역 철기시대 유적에는 집터·토성·토기요지 등 생활유적과 토광묘·옹관묘·적석총·즙석봉토분 등의 분묘유적이 확인되고 있다.

지표조사에서 확인된 지제동산성· 백봉리산성·기산리산성·대추리유적 등에서 철기시대 표지유물인 경질무문 토기와 타날문토기류가 다량으로 채집 되고 있다. 중서부지방에서 이러한 토 기류가 사용됐던 시기는 대체로 기원 전 2∼1세기에서 기원후 3∼4세기의 범위에 포함된다.

평택지역의 초기 철기시대 유적은 조 사된 예가 적으나 최근 소사벌유적25) 에서 초기 철기시대에 해당하는 토광 묘 1기와 수혈유구 1기가 조사됐다. 토 광묘는 구릉 정상부의 평탄지역에 등 고선 방향과 직교하며, 유물은 원형점토대토기와 흑도장경호편, 방추차 등이 함께 출토됐 다. 수혈 유구 1기는 전체적인 양상이나 특징을 파악할 수 없지만 인근 안성의 반제리유 적·안성 공도 신리유적 등에서 조사한 예가 있어 이와 비교·검토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삼국시대 전기의 생활·분묘유적으로는 방축리유적·현화리유적·대추리와 금각리유적 26), 마두리유적27), 평택용이지구도시개발사업예정부지28)에서 확인된다.
방축리유적에서는 백제시대 토광묘 1기, 현화리유적에서는 백제시대 가마와 토광묘가 조사됐다.



대추리 유적 채집 타날문토기류

| 대추리 유적 채집 타날문토기류 |



대추리·금각리유적에서는 삼국시대 전기이후 구상유구 3기, 삼국시대 및 시대미상 수 혈유구 56기가 확인됐다. 대추리 유적 수혈 유구 17호와 20호 출토 대형옹은 이 시기의 토기(생활용기) 보수 관련 자료와 옻칠의 용도에 관한 자료를 제공해주고 있다.
마두리유적에서는 삼국시대전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토광묘 3기가 확인됐다. 23 호 토광묘에서는 마형대구 1점, 철부 1점, 철겸 1점, 목걸이 1식 등이 출토됐다. 마형대구 는 말의 어깨와 배, 엉덩이 부분에 음각선으로 마구를 정교하게 표현했는데 표현수법은 영천 어은동 출토품과 유사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8호 토광묘에서는 유개대부호(향로형토기)·철검 1점·철모 1점·철겸 1점·철촉 3점·목걸이 1식이 출토됐고, 30호 토광묘에서는 연회색 연질토기 1점이 확인됐다.

평택용이지구도시개발사업예정부지 내 유적에서는 백제시대 원형수혈유구 8기가 조사됐는데 유구는 정상부에서 말단을 가리지 않고 조사됐다. 대다수의 원형수혈유구는 지름이 150㎝ 내외의 소형수혈유구이며 280㎝의 중형원형수혈유구도 함께 조사됐다. 출토유물은 수혈유구에서 대옹편과 타날문토기편이 조사됐다.

철기시대 유적은 고조선으로부터 삼국시대로 이어지는 전환기적 위치에 속하며 삼국시대 정치체제의 모태단계에 해당하므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문헌자료의 영세성과 획득된 고고학 자료의 지역적 편중으로 한강·금강·영산강 유역과는 달리 평택을 중심으로 안성천·아산일대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편이다. 최근 발굴 조사된 유적지를 통해 삼한·초기 백제사에서 평택지역의 역할을 체계적으로 밝히는 초석을 마련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왕호_전)선문대학교 겸임교수)









[참고문헌]


김주용, 『우리나라의 구석기 문화』, 연세대학교 박물관, 2001.

한창균 외, 『서해안 고속도로 건설구간(안산-안중)유적발굴조사 보고서』(2), 1995.

『평택현화리 유적』, 충북대학교 선사문화연구소, 1996.

『과기고고연구』, 아주대학교박물관, 1997.

『평택의 역사와 문화유적』, 경기도박물관, 1999.

『평택용이지구도시개발사업예정부지문화재발굴조사-5차지도위원회자료집』,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8.

『평택 서탄면 마두리 194-9번지 공장신축부지유적발굴조사 약보고서』, 한국문화유산연구원, 2008.

『평택 지제동 유적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자료』, 세종대학교 박물관, 1999.

『평택 원정리 패총 발굴조사 개요』, 아주대학교 박물관·서울대학교, 1996.

『平澤玄華里遺蹟』, 충북대학교 선사문화연구소, 1996.

『平澤芝制洞遺蹟』, 세종대학교박물관, 2000.

『平澤素沙洞遺蹟』, 고려문화재연구원, 2008.

『平澤杜陵里遺蹟』, 중앙문화재연구원, 2005.

『平澤南山里遺蹟』, 중앙문화재연구원, 2008.

『平澤梁橋里遺蹟』, 고려문화재연구원, 2010.

『平澤土津里遺蹟』,기전문화재연구원, 2006.

『平澤소사벌遺蹟』, 중앙문화재연구원, 2011.

『平澤防築里』, 세종대학교박물관, 2003.

『평택당현리유적Ⅰ·Ⅱ』, 가경고고학연구소, 2012.

『평택양교리산1-1 유적』, 겨레문화유산연구원, 2012.

『경기도 고인돌』, 경기도 박물관, 2007.

『한국사3』, 국사편찬위원회, 1997.

『平澤소사벌遺蹟』, 중앙문화재연구원, 2011.

『대추리·금각리 유적』, 중앙문화재연구원, 2008.

『평택 서탄면 마두리 194-9번지 공장신축부지유적발굴조사 약보고서』, 한국문화유산연구원, 2008.

『평택용이지구도시개발사업예정부지문화재발굴조사-3차지도위원회자료집』,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7.

주석

24) 『한국사3』, 국사편찬위원회, 1997, pp.325~337.
25) 『平澤소사벌遺蹟』, 중앙문화재연구원, 2011.
26) 『대추리·금각리 유적』, 중앙문화재연구원, 2008.
27) 『평택 서탄면 마두리 194-9번지 공장신축부지유적발굴조사 약보고서』, 한국문화유산연구원, 2008.
28) 『평택용이지구도시개발사업예정부지문화재발굴조사-3차지도위원회자료집』,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