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 교육

본문 바로가기
교육>각급학교 설립과 현황>초등학교
■ 초등학교

본문


진위振威초등학교  |  진위면 봉남길 49


1895년 7월 19일 구한말에 공포된 ‘소학교령’에 근거해 1899년 2월, 3년제인 ‘진위사립소학교’로 설립인가를 받고, 1900년 4월 7일 ‘진위공립소학교’로 개교했다. 당시 수업할 교실이 없어 진위군청의 객사 한 구석을 사용했다. 평택지역 첫 교육기관으로 개교해 평택교육의 효시가 됐다.
1906년 소학교령 대신 ‘보통학교령’이 공포되면서 ‘공립진위보통학교’로 개칭됐다. 그러나 일제의 보통학교령에 의해 설립된 학교가 아니고 구한말 ‘소학교령’에 의해 설립돼 ‘을종보통학교’로 지정·명명됐고 교원 봉급이나 학교에 대한 지원이 별로 없었다.
1911년 3월 23일 일제의 ‘신교육령’에 따라 그대로 유지되다가 1923년 6년제로 승격했고 1954년 4월 1일 ‘산대분교’와 ‘갈곶분교’를 설립했다. 산대분교는 1957년 4월 1일 국민학교로 승격했다가 1994년 3월 1일 다시 산대분교로 격하됐다. 갈곶분교는 1959년 4월 1일 국민학교로 승격됐다. 유치원은 1981년 3월 9일 설립됐다.
2000년 4월 21일 개교 100주년 기념 『진위백년사』를 편찬 발행했다.


| 진위초등학교 |


| 진위초등학교 산대분교 |



평택성동平澤城東초등학교  |  중앙로 89(비전동)


충청남도 평택현 읍내리(현 팽성읍 남산리)에 거주하던 강난수姜蘭秀는 당시 평택군 내에서 국민학교장을 역임했던 강경원의 조부로 1904년 사랑방을 이용해 교육하다가 일제의 신 교육령에 따라 ‘보통학교’가 설립됐다.
평택동에 있던 옛 평택세무서 앞에 목조건물을 신축하고 ‘평택보통학교’로 명명했다. 1913년 6월 13일 공립학교로 전환돼 ‘평택공립보통학교’로 개교했다. 1938년 10월 31일 현 위치로 이전했다. 1950년 한국전쟁 때는 휴교하고 1군단 본부로 사용했다.
1956년 7월 17일 경기도교육청 지정 미술과 연구학교가 됐고 1957년 1월 5일 동쪽 바로 옆에 폐교된 ‘평성중학교平聖中學校’ 11개 교실을 인수해 별관으로 사용했다. 1967년 11월 30일 강당 180평을 준공했다.
1970년 2월 14일 화재로 본관 20여 개 교실이 전소됐으나 교육청 지원으로 같은 해 9월 30일에 본관 30개 교실이 준공됐다. 1977년 3월 3일 문교부지정 자연과 실험연구학교로 지정받았고 동년 3월 20일 병설유치원을 개설했다.


| 평택성동초등학교 |



안중安仲초등학교  |  안중읍 안중로 89


평택서부지역 중심지 학교로 안중리 편사진片思鎭과 지역 유지들이 대지를 기탁해 교실을 신축했다. 1922년 ‘안중공립보통학교’는 4년제로 개교했다. 당시 서부지역 4개면(오성면·청북면·포승면·현덕면)에 입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많아 시험으로 선발했고 1926년 4월 1일 6년제로 개편됐다.
1979년 3월 문교부로부터 ‘실과 실험학교’로 지정됐고, 1980년 11월 연구학교 보고회를 가졌으며, 1981년 6월 전국적인 시범학교 운영 보고회가 있었다.
1981년 3월 병설유치원이 개설됐고, 1982년 3월 평택군 교육청으로부터 종합시범학교로 지정됐다.


| 안중초등학교 |



서정리西井里초등학교  |  서두물로 21(서정동)


1922년 6월 3일 4년제 ‘서정리공립보통학교’로 개교했다. 안중보통학교와 같은 해에 개교해 1926년 6년제로 개편됐다. 식민지 교육정책에 치중한 전형적인 시범학교였다. 엄동설한에도 학생들에게 양말이나 버선을 못 신게 하고 일본식 짚신을 신도록 강요했다.
일본 교장 오끼하라冲原南海는 공로를 인정받아 함경남도 시학視學(오늘의 장학사)으로 발탁됐다.
1945년 11월 1일 송탄면 가재리에 송탄분교를 설치하고 1949년 6월 30일 국민학교로 승격해 ‘송탄초등학교’가 됐다.
1950년 교사가 완전히 소실돼 노천이나 천막교실에서 수업을 하는 등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1981년 3월 9일 병설유치원을 개설했다.


| 서정리초등학교 |



청북靑北초등학교  |  청북면 청북새싹길 25


1926년 9월 13일 4년제 ‘청북공립보통학교’로 개교했다. 1936년 3월 16일 6년제로 개편됐다. 1948년 어연분교를 개설해 1953년 5월 ‘어연국민학교’로 승격하고, 1953년 삼덕분교를 개설해 1955년 4월 ‘삼덕국민학교’로 승격됐다.
한국전쟁 때는 미군부대 중대본부 지휘통제소와 박격포 발포 및 전진기지로 사용되기도 했다. 1972년 과거 건물을 철거하고 현대식 철근콘크리트 건물로 1층 교실이 모두 개축됐다.
1982년 3월 10일 병설유치원을 개설했다. 2000년대 농촌인구 감소로 학생들이 줄어들어 ‘돌아오는 농어촌학교’로 지정돼 통학버스를 운영하고 있다.


| 청북초등학교 |



부용芙蓉초등학교  |  팽성읍 동서촌로 65


일제 강점기 ‘1면 1교’ 계획으로 1927년 4년제 ‘부용보통학교’로 개교했다. 1942년 1월 23일 화재로 5개 교실이 전소돼 같은 해 5월 5일 다시 5개 교실을 신축했다. 1981년 3월 9일 병설유치원을 개설했다. 1968년 3월 1일 ‘노와분교’를 개설했다.
노와분교는 같은 해 5월 5일 지역 주민들로부터 토지 3,026평을 기증받아 7월 16일 교실을 신축하고 1970년 3월 1일 분교를 ‘노와초등학교’로 분리 승격했다. 노와국민학교는 학생들이 점점 줄어 다시 분교장으로 격하되고 이후 폐교됐다.
모든 건물을 다시 개조해 2004년 7월 31일 경기도교육청 산하의 ‘유아체험교육관’으로 새롭게 변신했다.


| 부용초등학교 |



내기內基초등학교  |  포승읍 내기새싹길 23


1929년 12월 24일 4년제 ‘내기공립보통학교’로 개교했다. 1960년 4월 1일 ‘신영분교’를, 1965년 3월 15일 ‘홍원분교’를, 1967년 3월 1일 ‘원정분교’를 국민학교로 분리 승격시켰다. ‘신영국민학교’는 농촌 이농현상으로 학생이 줄어 다시 분교로 환원됐다.
컴퓨터를 이용한 정보화교육 시범학교를 연속 4년간 운영해 지역의 정보화교육을 선도했다.


| 내기초등학교 |


| 내기초등학교 신영분교장 |



서탄西炭초등학교  |  서탄면 금암2길 121


1930년 8월 22일 4년제로 설립인가 받고 같은해 12월 25일 ‘서탄보통학교’로 개교했다. 1941년 4월 1일 ‘서탄공립국민학교’로 개칭되면서 6년제로 바뀌었다. 1945년 10월 1일 적봉리에 금각분교장이 설치되고 1954년 4월 1일 ‘금각국민학교’로 분리 승격됐다.
1966년 12월 6일 수월암리에 내수분교장이 설치되고 1968년 3월 1일 ‘내수국민학교’로 분리 승격됐다.
금각초등학교는 K-55 미공군기지 확장과 이농 현상으로 학생 수가 줄어 1993년 2월 28일 다시 금각분교장으로 격하됐고 내수초등학교도 1994년 2월 28일 다시 내수분교장으로 격하됐다.
금각분교장은 2000년 8월 31일 폐교를 신청해 복창국민학교 관할이 됐다. 2006년 평택문화원이 ‘웃다리문화촌’ 평택문화예술체험관으로 개조해 운영하고 있다.


| 서탄초등학교 |


| 서탄초등학교 내수분교 |



고덕古德초등학교  |  고덕면 고덕로 254


1931년 7월 16일 4년제 ‘고덕보통학교’로 설립인가 받고 안재봉이 토지 2,897평을 기증해 교사를 신축하고 동년 11월 1일 개교했다. 1948년 5월 1일 동면 방축리에 남부분교를 설치했고, 1949년 4월 1일 동면 두릉리에 북부분교를 설치했다. 남부분교는 1954년 4월 1일 ‘효덕국민학교’로, 북부분교는 1955년 4월 1일 ‘종덕국민학교’로 승격했다.


| 고덕초등학교 |



현덕玄德초등학교  |  현덕면 현덕로 1254


1934년 9월 4일 4년제 ‘현덕보통학교’로 설립인가 받았고 1935년 4월 18일 개교했다. 1957년 3월 20일 동면 권관리에 가사분교가 설치되고 1958년 4월 1일 ‘가사초등학교’로 승격됐다. 1981년 10월 18일 48인조의 악기를 구입해 리듬 합주부를 구성했다.
1955년 4월 1일 광덕분교가 ‘광덕초등학교’로 분리 승격됐다. 1995년 3월 1일 인구감소로 다시 ‘광덕분교’로 격하됐다. 1982년 2월 13일 병설유치원이 개설됐다.


| 현덕초등학교 |


| 현덕초등학교 광덕분교 |



오성梧城초등학교  |  오성면 숙성시장길 15


1941년 10월 8일 ‘오성국민학교’로 개교했다.
1943년 4월 ‘오성간이학교’를 합병했다. 1951년 1월 20일 유엔군이 학교에 주둔하고 화재로 학교가 전소됐다.
1952년 12월 31일 현재 부지에 5개 교실을 신축했다. 1967년 10월 1일 오성면 신리마을에 ‘창신분교’를 설치했고, 1968년 12월 5일 오성면의 복지관을 편입시켜 강당으로 사용했다. 1969년 3월 2일 창신분교가 승격돼 ‘창신초등학교’가 됐다.


| 오성초등학교 |



팽성彭城초등학교  |  팽성읍 송화2길 2


1943년 4월 1일 간이학교였다가 ‘팽성 제2국민학교’로 개교했다. 간이학교가 사용했던 교사와 193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부용면과 서면이 합병돼 팽성면이 되면서 서면의 면사무소 청사를 임시교사로 활용했다.
1946년 9월 3일 해방된 후 폐쇄된 도두리의 도청강습소棹靑講習所 건물을 이용해 팽성 제2국민학교 도두분교실을 설치해 3학급을 수용했다.
1954년 4월 1일 ‘계성국민학교’로 설립인가를 받아 개교했다.


| 팽성초등학교 |



죽백竹柏초등학교  |  죽백1길 41(죽백동)


1944년 4월 2일 ‘죽백국민학교’로 개교했다. 원래 행정구역상 안성시 원곡면에 속해 안성교육청 관할이었다. 1982년 1월 1일 평택시에 편입됐다.
주변이 과수원과 전답이 있는 농촌지역이라 학생이 적다. 2008년 ‘돌아오는 농촌학교’로 지정돼 통학버스를 운행했고, 2011년 ‘혁신학교’로 지정됐다.


| 죽백초등학교 |



평택중앙平澤中央초등학교  |  세교로 11


1945년 3월 1일 진위청년회가 운영하던 진청학원 교실 일부를 빌려 ‘진청공립국민학교’로 개교했다. 1945년 9월 일본인 심상소학교尋常小學校 교사를 접수해 이전했다. 진청학원의 교실을 이용해 중앙국민학교를 설립 개교했다.
1947년의 대홍수로 교실이 유실되자 임시로 진청국민학교를 빌려 ‘진청공립국민학교와 중앙공립국민학교’가 함께 2부제로 수업했다. 중앙공립국민학교는 교사를 복구 신축하지 못하고 폐교됐고, 학생 전부를 진청공립국민학교에서 인수했다. 1950년 4월 ‘평택중앙국민학교’로 개칭했다.
1952년 현재의 세교리로 교사를 신축해 이전했다. 1969년 12월 평택국민학교 신설로 학구가 변경돼 철도를 중심으로 신대리와 통복리 학생 4학급을 인계했다. 1970년 3월 성동국민학교 화재로 2학급을 인수해 교육했다. 1981년 3월 9일 병설유치원을 개설했다.


| 평택중앙초등학교 |



어연魚淵초등학교  |  청북면 청원로 446


1945년 해방이후 어연리 박문의朴文義가 사재를 털어 농민학교를 설치하려고 3000여 평에 3개 교실을 신축했으나 운영이 좌절됐다. 1946년 4월 이 건물을 접수하고 율북리에 있는 ‘일신강습소’를 기증받아 어연리로 이전하면서 청북국민학교 분교실로 설립됐다. 1953년 5월 5일 ‘어연국민학교’로 승격돼 분리 개교했다.


| 어연초등학교 |



송탄松炭초등학교  |  중리길 22(가재동)


일제강점기 가재리 최기봉崔基鳳이 교실을 짓고 본인이 교사로 글을 가르쳤다. 1945년 11월 5일 서정리국민학교 분교장으로 이용됐다. 1949년 6월 30일 ‘송탄국민학교’로 승격됐다. 3대 교장 김종화金種華는 교가를 작사 작곡했다.


| 송탄초등학교 |



효덕孝德초등학교  |  고덕면 효덕새싹길 6-5


1947년 8월 5일 지역 주민들이 ‘학교설립기성회’를 조직하고 고덕면 동고리와 효학동에 있는 공회당을 기증받았다. 학교 부지는 조병호·차창렬·천순기가 기증해 교실을 신축했다. 1948년 5월 1일 ‘고덕국민학교 남부분교’로 시작했다가 1954년 4월 1일 ‘효덕국민학교’로 승격됐다.


| 효덕초등학교 |



종덕宗德초등학교  |  고덕면 청원로 802


1949년 4월 변여사(전 국무총리 변영태卞榮泰씨의 딸)로부터 대지 1,171평을 기증받아 교실을 신축해 ‘고덕국민학교 북부분교’로 시작했다.
1955년 4월 1일 ‘종덕국민학교’로 분리 승격됐다. 2005년 이후 고덕신도시 개발로 학생 수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 종덕초등학교 |



계성桂城초등학교  |  팽성읍 계성새싹길 85


1954년 4월 1일 팽성국민학교 도두분교실이 ‘계성국민학교’로 개교했다. 1969년 3월 1일 동면 대추리에 대추분교실大秋分校室을 설치하고, 1971년 3월 1일 ‘대추국민학교’로 분리 승격됐다. 대추국민학교는 학생이 줄자 1989년 3월 1일 ‘계성 분교장’으로 격하됐고 2000년 9월 1일 대추분교를 계성초등학교로 통폐합 시켰다.


| 계성초등학교 |



삼덕三德초등학교  |  청북면 청북중앙로 206-6


일제강점기 말 향남면 구문천리와 삼계리의 옹포 마을에 옹포강습소가 개설됐다. ‘동양척식주식회사(동척농장)’라는 농지회사가 설립돼 ‘옹포 강습소’를 동척농장 사무실로 옮겨 운영하다가 1953년 5월 23일 ‘청북국민학교삼덕분교장’이 됐다. 1955년 3월 3일 국민학교로 분리 승격돼 ‘삼덕국민학교’로 개교했다.
2000년대 ‘돌아오는 농어촌학교’로 지정받아 통학버스를 운영하고 있다.


| 삼덕초등학교 |



송북松北초등학교  |  지산로 90(지산동)


당시 서정리국민학교와 통학거리가 너무 멀고 목포와 서울을 잇는 1번 국도가 확장되면서 통학에 어려움과 위험성이 생기자 지역 주민들 요청으로 설립된 학교다. 1955년에 개교했고 1980년 3월 10일 병설유치원이 설립됐다.


| 송북초등학교 |



갈곶葛串초등학교  |  진위면 엘지로 57


1957년 4월 1일 ‘진위국민학교 갈곶분교’로 시작했다. 이주지가 임야 2500여 평, 박종태가 전 200여 평을 기증해 교사를 신축했고 1959년 4월 1일 ‘갈곶국민학교’로 승격했다.


| 갈곶초등학교 |



가사佳士초등학교  |  현덕면 기산2길 16


1957년 3월 30일 ‘현덕국민학교 가사분교’로 시작했고 1958년 4월 1일 ‘가사국민학교’로 분리 승격됐다.
2001년 1월 13일 교사 일부를 증축하고, 2005년 12월 10일 다목적실 ‘솔마루 글터’라는 학교도서관을 개관했다. 2011년 8월 31일 리모델링해 환경을 개선했다.


| 가사초등학교 |



송신松新초등학교  |  밀월로 13(신장동)


인근의 서정리국민학교와 송북국민학교의 학생수가 급증함에 따라 두 학교 학생을 일부씩 수용해 1963년 6월 16일 ‘송신국민학교’가 개교했다. 그 후 주변의 급속한 인구증가로 과밀학급이 되자 학급증설을 했다. 1968년 3월 2일 복창국민학교가 신설되면서 학구 변동으로 1∼2학년 일부를 분리시켰다. 1981년 병설 유치원을 개설했다.


| 송신초등학교 |



홍원洪原초등학교  |  포승읍 외원길 26


1965년 3월 15일 ‘내기국민학교 홍원분교’에서 분리 승격돼 ‘홍원국민학교’로 개교했다. 개교 당시는 황해도의 피난민과 나중에는 충남 대청댐 수몰지구 이주민들이 집단으로 정착했다.
‘돌아오는 농어촌학교’로 지정받아 통학버스를 운영하고 있다.


| 홍원초등학교 |



원정遠井초등학교  |  포승읍 평택항로 469


1967년 3월 1일 ‘내기국민학교 원정분교’에서 분리 승격돼 ‘원정국민학교’로 개교했다. 서쪽 해변에 인접한 오지 학교였다. 1981년 ‘해양시범학교’를 운영해 학생들에게 바다의 중요성을 인식 시키는 교육을 했다.
학생은 점점 늘어 최근에는 해군 2함대사령부 자녀들이 80%를 점유하고 있으며 전체 약 700여명이 있다. 평택항이 개설되면서 2006년 9월 1일 ‘도곡초등학교’를 설립하게 됐다. 도곡초등학교에 학생 230명을 인계했다.


| 원정초등학교 |



복창福昌초등학교  |  서정북로 3(서정동)


송신초등학교 학생 수가 급격히 증가해 이를 분리 수용하려고 설립했다. 1968년 3월 2일 ‘복창국민학교’로 개교했다. 경기도교육청 지정 시청 각교육 연구시범학교로 운영됐다.


| 복창초등학교 |



창신倉新초등학교  |  오성면 창신뜰길 138


1967년 ‘오성국민학교 창신분교’로 시작해 1969년 3월 2일 ‘창신국민학교’로 승격했다. 통학구역이 창내리와 신리 평야지대로 오성국민학교와는 거리가 멀었다.
1981년 7월 11일 새벽에 화재가 발생해 서쪽 1층 7개 교실이 전소됐고 같은 해 11월 20일 슬라브식의 7개 교실을 신축 복원했다.
‘돌아오는 농어촌학교’로 지정받아 통학버스를 운영하고 있다.


| 창신초등학교 |



평택平澤초등학교  |  원평2로 4(평택동)


1969년 3월 2일 ‘평택서국민학교’ 설립인가를 받아 개교했다. 교실이 부족해 2개 학급을 성동국민학교에서, 3개 학급은 중앙국민학교에서, 나머지는 본교에서 분산 수업을 하기도 했다.
1969년 8월 20일 ‘평택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고, 1978년 3월 1일 경기도교육청 지정 체육과 육상시범학교로 지정됐다. 1981년 3월 10일 병설유치원을 개설했다.


| 평택초등학교 |



평일平一초등학교  |  평남로 626(합정동)


평택성동초등학교 학생 수가 급증하면서 분산 수용하기 위해 1981년 12월 16일 16교실을 준공하고, 1982년 2월 4일 설립인가를 받아 같은 해 3월 3일에 ‘평일국민학교’를 개교했다.


| 평일초등학교 |



비전碑前초등학교  |  비전1로57번길 63(비전동)


1987년 학교 설립인가를 받고, 1988년 3월 1일 ‘비전국민학교’로 개교했다. 당시 평택성동초등학교 학생들을 분산하려고 설립돼 1988년 9월 8일 12개 학급을 성동국민학교로부터 인계받아 같은해 9월 8일에 수업을 시작했다. 유치원은 1989년 3월 10일 개원했고, 2003년 3월 1일 동삭초등학교를 분리 개교하게 됐다.


| 비전초등학교 |



합정蛤井초등학교  |  평택4로 11


1991년 2월 18일 학교 설립인가를 받고, 1992년 3월 1일 ‘합정국민학교’로 개교하면서 21학급을 편성했다. 당시 학교 주변에 5층 정도의 빌라건물 20여 채가 지어지고 아파트 단지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1997∼1998년 경기도교육청 지정 및 교육부지정으로 ‘열린교육시범학교’를 운영했다.


| 합정초등학교 |



지장地莊초등학교  |  지장로 15(서정동)


1993년 1월 11일 학교 설립인가를 받고, 1993년 4월 1일 ‘지장초등학교’로 개교했다. 송탄지역의 도시개발과 아파트 입주에 따른 인구 증가로 이웃 지산초등학교도 거의 같은 시기에 개교했다.


| 지장초등학교 |



평택지산平澤芝山초등학교  |  지산2로 57(지산동)


1993년 6월 3일 학교 설립인가를 받고, 1994년 4월 1일 ‘평택지산초등학교’로 개교했다. 지장초등학교와 같이 인근 지역 아파트 입주에 따른 인구증가로 학교를 설립하게 됐다. 개교 당시에 20학급으로 시작했다.


| 평택지산초등학교 |



덕동德東초등학교  |  매봉산1길 5(비전동)


1994년 11월 1일 학교 설립인가를 받고, 1995년 3월 1일 ‘덕동초등학교’로 개교했다. 1997년 3월 병설유치원을 개원했다. 2008년 10월 도서관 증개축 리모델링을 했고, 2008년 12월 전국 100대 교육과정 우수교로 선발되기도 했다.


| 덕동초등학교 |



소사벌素砂坪초등학교  |  동부공원로 59(비전동)


1996년 5월 22일 학교 설립인가를 받고, 1997년 3월 1일 ‘소사벌초등학교’로 개교했다. 유치원은 1997년 3월 1일 개원했다.
학교 주변 인구증가로 평택에서 학생규모가 가장 큰 학교다.


| 소사벌초등학교 |



이충二忠초등학교  |  이충로 93-5(이충동)


1997년 3월 1일 학교 설립인가를 받고, 1997년 6월 5일에 ‘이충초등학교’로 개교하면서 같은 해 12월 8일 4층의 9개 교실을 증축했다. 도시개발로 아파트가 건축되고 인구증가에 따른 결과다.


| 이충초등학교 |



송일松一초등학교  |  송일로 6(서정동)


1997년 6월 5일 학교 설립인가를 받고, 1998년 3월 1일에 15학급 ‘송일초등학교’로 개교했다. 도시개발에 인해 세워진 학교다. 유치원은 1999년 3월 1일 개원했다. 7차례의 각종 연구학교, 선도학교, 협력학교, 복지대상학교 등 연구 시범학교를 운영했다.


| 송일초등학교 |



세교細橋초등학교  |  세교공원로 32


1997년 1월 14일 학교 설립인가를 받고, 1997년 3월 1일 ‘세교초등학교’로 개교했다. 주변의 아파트 건립과 옆의 평택중앙초등학교 학생 수가 많아지면서 이를 분산 수용하게 됐다. 개교 당시 중앙초등학교에서 전입생 493명을 인수받았다.
‘아름다운학교’로 선정되고 2010년 평택교육지원청 지원으로 ‘학교 숲 가꾸기’ 조경공사를 했다.


| 세교초등학교 |



군문軍門초등학교  |  원평로 21(군문동)


1999년 1월 15일 학교 설립인가를 받고, 1999년 4월 1일 ‘군문초등학교’로 개교했다. 유치원은 2000년 3월 1일 개원했다. 주변에 평택역·터미널·아파트·백화점이 새로 증축돼 2000년 4월 29일 본관 3∼4층에 19개 교실을 증축했다.
2010년 경기 남부지역의 ‘특수학급지원센터’를 개설 운영하고 있다.


| 군문초등학교 |



현화玄華초등학교  |  안중읍 안현로서7길 80


1998년 1월 15일 학교 설립인가를 받고, 2000년 3월 1일 ‘현화초등학교’로 개교했다. 1995년경 안중읍 현화리에 택지를 개발해 신도시를 건설하며 설립 된 학교다.
1989년 4월 1일 행정구역 개편으로 안중리가 안중면으로 승격되면서 현화리가 신설됐다. 교명은 마을의 부락 이름에서 유래된 것이다.


| 현화초등학교 |



동삭東朔초등학교  |  동삭로 370(동삭동)


2003년 3월 1일 ‘동삭초등학교’로 개교했다. 동삭동 주변에 아파트 단지가 형성되면서 출현하게 됐다.
2007년 3월 21일 역사와 명예의 전당, 독서 사랑관을 개관하고, 경기도교육청 지정 음악과 시범 학교와 청소년 유해환경 시범학교를 운영하기도 했다.


| 동삭초등학교 |



현일玄一초등학교  |  안중읍 현화중앙길 83


2003년 12월 4일 설립인가를 받고 2005년 3월 1일 ‘현일초등학교’로 개교했다. 평택서부문예회관 맞은편에 있다. 도지정 방과후학교·디지털교과서 연구학교와 교육부지정 자율형 창의경영학교 등을 운영하는 연구시범학교를 운영했다. 2008년 학교평가 최우수학교 표창을 수상했다.


| 현일초등학교 |



장당獐堂초등학교  |  송탄로 46(장당동)


장당동 아파트 건립에 따른 인구증가로 2004년 12월 3일 설립인가를 받고 2005년 3월 1일 ‘장당초등학교’로 개교했다. 각종 경연대회와 스포츠 대회에서 수상했다.


| 장당초등학교 |



평택안일平澤安一초등학교  |  안중읍 안중로 13


2004년 12월 27일 설립인가를 받고 2005년 3월 1일 ‘평택안일초등학교’로 개교했다. 2005년 3월 9일 병설유치원이 개원됐고, 각종 예체능 경연대회에서 두각을 보이고 있다. 안중에는 ‘안일중학교’와 ‘안일고등학교’가 있어 ‘평택안일초등학교’로 명명했다.


| 평택안일초등학교 |



평택송화平澤松花초등학교  |  팽성읍 송화택지로25번길 14


2005년 3월 1일 ‘평택송화초등학교’로 개교했다. 2008년 11월 11일 ‘영어체험센터’를 개관하고, 2011년 12월 8일 ‘험프리즈’ 미국인 학교와 자매결연해 정보교환을 하고 있다.


| 평택송화초등학교 |



평택도곡平澤道谷초등학교  |  포승읍 여술로44번길 5


2006년 9월 1일 ‘평택도곡초등학교’로 개교했다. 개교 당시 인근의 원정초등학교 학생 216명을 전학 조치시켜 8학급으로 편성했다. 포승국가 산단이 있으며 학생들 중 약 80%가 산단 지역민이고 원주민 자녀는 약 20%정도다.
2008년 4월 15일 학교도서관을 개관했고, 2011년 유치원을 3학급으로 편성했다.


| 평택도곡초등학교 |



반지盤芝초등학교  |  이충로 7(이충동)


2007년 3월 1일 설립인가를 받고 2007년 9월 1일 ‘반지초등학교’로 개교했다. 학교가 위치한 곳이 ‘반지’ 마을이었다. ‘소반위에 있는 영험한 버섯처럼 훌륭한 인재를 배출할 수 있는 배움의 전당’이라는 뜻이다.
2008년 3월 1일 병설유치원이 개원됐고, 2008년 10월 10일 ‘북부지구거점 영어체험센터’를 개관해 평택북부지구의 영어교육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 2012년 3월 1일 특수학급을 2학급으로 편성했다.


| 반지초등학교 |


송현松峴초등학교  |  경기대로 1432(지산동)



2008년 3월 1일 ‘송현초등학교’로 개교했다.
2009년 3월 1일 경기도 과학선도학교로 지정받아 3년간 운영했고, 특기적성교육과 예체능 교육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 송현초등학교 |



용이龍耳초등학교  |  현신7길 36(용이동)


경부고속도로 안성 톨게이트 앞에 용이지구가 개발되면서 2010년 3월 1일 ‘용이초등학교’로 개교했다. 같은 해 ‘용이병설유치원’도 개설했다.


| 용이초등학교 |


청옥靑玉초등학교  |  청북면 안청로1길 76



안중과 약 2km 정도 근접해 있고 평택항과 포승국가산단의 배후도시를 건설하면서 설립된 학교다.
2009년 1월 30일 설립인가를 받고, 2011년 3월 1일 ‘청옥초등학교’로 개교했다. 청북면의 ‘청’ 자와 옥길리의 ‘옥’ 자를 합한 이름이다.


| 청옥초등학교 |



자란紫蘭초등학교  |  평택시 만세로 1886(비전동)


2013년 3월 1일 소사벌 택지지구 내에 ‘자란초등학교’로 개교했다. 지성·감성·건강이 조화로운 어린이로 자라도록 한다는 교육이념을 실천하고 있다.


※ 4개의 분교장(신영분교, 광덕분교, 산대분교, 내수분교)은 해당 본교에서 관할하고 있고 폐교된 2개 초등학교(금각초등학교, 노와초등학교)는 다른 기관에 예속돼 생략했다.


| 자란초등학교 |



주석

30) 평택군지편찬위원회, 앞의 책, pp.844~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