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호 물줄기의 어류상 > 자연환경

본문 바로가기
자연환경 > 자연과 생태계 > 평택의 동물 > 담수어류 > 평택호 물줄기의 어류상
■ 평택호 물줄기의 어류상

본문

기후변화에 의한 생태계 변화 가능성과 수도권 과밀화에 따른 개발압력으로 생태계 변화 가능성이 높아졌다. 경기도는 이에 대한 체계적인 생태계관리 방안 마련으로 도내 생태계교란지역, 한남정맥 생태축 지역, 생물다양성지역, 생태축 단절지역 등 민감 지역에 대해 일정 주기별로 생태계를 관찰했다. 생물종다양성, 개체 수, 분포 등 지속적인 자료를 축적하고 변화요인을 파악하여 보전 및 복원 대책으로 2009년 5월부터 2010년 7월 2일까지 14개월간 진행한 「민감지역 생태계 변화관찰 조사」 연구용역 결과 생태계교란지역과 관련해 평택호가 민감지역으로 선정됐다.



조사 지점


진위천·안성천·평택호 및 그 지류로 모두 3개 지점


·지점1 : 경기도 평택시 고덕면 궁리(궁안교)
·지점2 : 경기도 평택시 원평동(안성천 1교)
·지점3 : 경기도 평택시 오성면 교포리~경기도 평택시 현덕면 신왕1리


평택호 물줄기 어류생태계 조사도

| 평택호 물줄기 어류생태계 조사도 |



전체 어류상


본 조사에서 채집된 어류는 총 13과 27종 642개체였으며 잉어과가 13종으로 가장 우세 하게 출현해 전체 어종의 48.1%에 이른다. 그 외에 미꾸리과가 2종(7.4%), 검정우럭과가 2종(7.4%)이고 나머지 동자개과·메기과·송사리과·꺽지과·시클리과·동사리과·망둑 어과·버들붕어과·가물치과는 1종씩만 출현했다. 잉어과 어류가 우세하게 출현하는 것은 우리나라의 서·남해로 흐르는 하천의 공통된 특성이다.
전체 출현어종 가운데 과별 개체 수는 잉어과 어류가 500개체로 상대풍부도가 77.9%에 달해 가장 많았으며 검정우럭과가 90개체 14.0%로 우세하게 출현했다. 미꾸리과는 17개 체(2.6%)였고 나머지는 상대풍부도 1% 이하로 희소하게 출현했다.
어류의 생활형에 따른 구분으로 출현종 뱀장어와 밀어가 2차 담수어였고 나머지는 1차 담수어에 해당됐다. 한국고유종으로 몰개와 얼룩동사리 등 2종만이 조사돼 출현어종의 7.4%를 차지했으며 비교적 낮은 고유화율을 보였다.
전체 출현어종 중 우점종은 붕어로 상대풍부도 21.8%에 달했으며 아우점종은 참붕어 (17.9%)였다. 그 외에 피라미(11.7%)·강준치(8.9%) 등이 우세하게 출현했다.
환경부에서 지정한 멸종위기동물은 서식하지 않았고 외래종으로 떡붕어·큰입배스·블 루길 등 3종이 확인됐다. 이중 배스와 블루길은 생태계위해외래동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두 종의 상대풍부도가 16.4%를 차지해 출현 비율이 높았다.



[조사 지점의 어류상]


분류 조사지점 합계 상대
풍부도
과명 종명 학명 1 2 3
뱀장어과 뱀장어 Anguilla japonica     3 3 0.5
잉어과 잉어 Cyprinus carpio 5 6 18 29 4.5
붕어 Carassius auratus 19 12 109 140 21.8
흰줄납줄개 Rhodeus ocellatus   2 3 5 0.8
떡납줄갱이 Rhodeus notatus     1 1 0.2
참붕어 Pseudorasbora parva 15 24 76 115 17.9
* 몰개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1 7 24 32 5.0
모래무지 Pseudogobio esocinus 2   2 4 0.6
왜몰개 Aphyocypris chinensis     2 2 0.3
피라미 Zacco platypus 41 34   75 11.7
끄리 Opsariichthys uncirostris 3   8 11 1.7
강준치 Erythroculter erythropterus   8 49 57 8.9
살치 Hemiculter leucisculus 2 3 10 15 2.3
미꾸리과 미꾸리 Misgurnus anguillicaudatus   7 6 13 2.0
미꾸라지 Misgurnus mizolepis 1   3 4 0.6
동자개과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 2 1 5 8 1.2
메기과 메기 Silurus asotus     2 2 0.3
송사리과 대륙송사리 Oryzias sinensis     6 6 0.9
꺽지과 쏘가리 Siniperca scherzeri     2 2 0.3
검정우럭과 블루길 Lepomis macrochirus 4 2 42 48 7.5
배스 Micropterus salmoides 2 3 37 42 6.5
시클리과 나일틸라피아 Oreochromis niloticus     2 2 0.3
동사리과 * 얼룩동사리 Odontobutis interrupta 2 1   3 0.5
망둑어과 밀어 Rhinogobius brunneus 5     5 0.8
버들붕어과 버들붕어 Macropodus chinensis     1 1 0.2
가물치과 가물치 Channa argus     3 3 0.5
    개체수 104 111 427 642  
    종수 14 14 24 27  
    과수 6 5 10 13  

■종명 앞의 *표시는 한국고유종을 의미한다.



어류 서식상의 특징


본 조사결과 평택호와 그 지류에 서식하는 어류 는 총 13과 27종이 조사됐다.
잉어과 어류가 우점優占해 우리나라 서남해로 유입되는 하천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었으며 출현 종 대부분이 오염 및 환경변화에 대한 내성이 강 한 종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한국고유종 2종만 출현해 고유화율이 낮은 것 은 대부분 하구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최근 유 입된 강준치는 비정상적인 개체군 증가로 인해 본래 평택호에 서식하는 어류의 먹이 및 서식처 등을 점유하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현상은 최근 팔당호 등의 사례와 매우 유사 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외래종인 떡붕어·배스·블루길이 이입되어 서 식하면서 토착어종에 매우 큰 영향을 주고 있어 적극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우리나라 고유종 얼룩동사리

| 우리나라 고유종 얼룩동사리 |



생태계교란종 파랑볼우럭(블루길)

| 생태계교란종 파랑볼우럭(블루길) |



민물고기 분포13)



[평택지역 민물고기 분포]


번호 어종 고덕면 서탄면 안중면 오성면 진위면 청북면 팽성읍 평택읍 포승면 현덕면
1 가물치  
2 가시납자리                  
3 각시붕어            
4 갈문망둑              
5 긴몰개                
6 꺽정이              
7 꺽지                
8 끄리  
9 납줄갱이          
10 농어        
11 누치                
12 눈동자개                  
13 다묵장어                  
14 달납줄개           ●1
15 대농갱이                  
16 돌고기                
17 돌마자        
18 동사리        
19 동자개  
20 두줄망둑              
21 드렁허리      
22 말뚝망둥어                
23 메기
24 모래무지    
25 몰개        
26 문절망둑      
27 미꾸라지    
28 미꾸리  
29 밀어        
30 뱀장어  
31 버들붕어
32 버들치              
33 붕어
34 송사리
35 숭어        
36 왜매치        
37 왜몰개      
38 웅어            
39 잉어  
40 점줄종개                
41 줄몰개              
42 참마자          
43 참붕어
44 참종개            
45 치리
46 큰납지리          
47 풀망둑              
48 피라미
49 황복                  
50 흰줄납줄개  
51 쏘가리              
52 큰입배스  
53 파랑볼우럭  
54 떡붕어          
55 떡납줄갱이                  
56 강준치              
57 살치            
58 대륙송사리              
59 나일틸라피아            
60 얼룩동사리              
61 버들매치                  


주석

13) 『쉽게 찾는 내 고향 민물고기』 (현암사, 2001년)에서 발췌했으며 쏘가리·강준치·살치·얼룩동사리 등 새로 발굴했거나 현장에서 직접 채집을 통해 확인된 종은 내용을 첨가하거나 수정했다. 평택읍은 현재 통복동·세교동·비전동·합정동 등 평택시내권을 말한다. ○는 고향말 조사와 문헌을 통해 알아낸 종이며 ●는 현장 조사에서 직접 채집을 통해 확인된 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