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현平澤縣 > 연혁

본문 바로가기
연혁 > 근대이전 > 평택군지역 > 평택현
■ 평택현平澤縣

본문

현재의 법정지명


조선시대 평택현(팽성현彭城縣) 지역은 1914년 통합 당시 옛 평택군 읍내면邑內面·동면東面·서면西面·남면南面·북면北面과 옛 진위군 언북면堰北面(직산 언리면과 평택 소북면의 통합 지역)의 동북지역 일부 등으로 추정된다.



[조선시대 평택현 지역으로 추정되는 현재 지명(화천역 포함)]


구분 현재 법정 지명
평택지역 군문동, 평택동 일부, 통복동 일부, 합정동 일부
팽성읍 객사리, 근내리, 남산리, 내리, 노성리, 노와리 일부, 대사리, 대추리, 동창리, 두리, 두정리 석근리, 석봉리, 송화리, 신궁리, 신호리, 안정리, 원정리, 평궁리 일부, 함정리
고덕면 동고리 일부
화천역(팽성읍) 추팔리 일원


행정구역의 변천


백제의 하팔현河八縣이었고, 신라시대 757년(경덕왕 16) 평택현으로 고쳐17) 탕정군湯井郡의 영현이 됐다. 고려시대 1018년(현종 9) 천안天安의 속현이 됐다가 뒤에 감무監務를 두었다. 조선시대 1413년(태종 13) 현감으로 바꾸었고 충청도에 속했다. 『경국대전』에 평택현 은 종6품 현감이 있으며 홍주진관병마절제도위洪州鎭管兵馬節制都尉를 겸했다. 1505년(연산군 11) 6월 평택현·직산현·진천현·아산현 등과 함께 충청도에서 경기도로 옮겼다.18)
1596년(선조 29) 왜구 침입으로 고을이 쇠잔해지자 평택현을 혁파해 직산에 예속시켰다.
가 1610년(광해군 2) 다시 설치했다. 읍호邑號는 팽성이라고도 한다.


여지승람도 충청도

| 여지승람도 충청도 |

*충청도 북쪽지역에 평택과 직산이 보인다.


조선후기에 현내면縣內面·동면東面·서면西面·남면南面·북면北面·소북면小北面 등 6개 면이 있었다.
1895년(고종 32) 내무대신 박영효朴泳孝의 제안으로 충청도의 평택현을 직산현에 합치는 논의가 있었으나19) 같은 해 지방제도 개편으로 평택현은 평택군이 돼 공주부에 속했다.20) 1896년 전국을 13도제로 편제해 충청남도 행정구역으로 바뀌었다.

주석

17) 『고려사』 지리지와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는 고려 때 평택으로 고쳤다고 한다(『新增東國輿地勝覽』 권19 평택현).
18) 『燕山君日記』 권58 11년 6월 29일 임오.
19) 『고종실록』 권33 32년 정월 29일 신축.
20) 『고종실록』 권33 32년 5월 26일 병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