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링크
본문
| 서울신문의 전신 대한매일신보가 1907년에 보도한 국채보상운동 |
1905년 강제로 을사늑약을 맺고 통
감부 체제를 구축한 일본은 자국으로
부터 거액의 차관을 도입해 이를 식민지화 작업에 필요한 재원으로 사용했
다. 한국의 대일 부채는 1907년에 이
르러 1,300여 만 원이 됐고 이에 전 국
민의 단결된 힘으로 대일 부채를 상환
하고 일제의 침략 의도를 저지함으로
써 국권을 회복하려는 운동이 전국적
으로 일어나게 됐다. 국채보상 움직임
이 현실화되기 시작한 것은 1907년 2월 중순 무렵 대구 광문사廣文社 사장 김광제金光濟와
부사장 서상돈徐相敦, 대동광문회 박해령 등 16명이 발기해 공동 명의로 국채 1,300만 원
보상 취지서를 발표하면서 부터였다. 김광제 등은 대구에 국채지원금 수습 사무소를 설치
하고 취지서를 발표한 후 모금 활동에 들어가자 국민들이 반응하면서 범국민운동으로 확
산됐다. 평택에서는 보통학교 교원 윤대선尹大善이 국채보상연의문國債報償演義文을 발표하
고 진위군민들의 참여를 독려하면서 국채보상운동을 전개했다.
진위군율포의약사振威郡栗浦義約社에서 33환 10전을 황성신문사에 기탁한 것을 시작으로
각 지역 여러 계층의 사람들이 참여했다. 진위군 이북면 구가곡에서 7환 70전, 일서면 내
리에서 12환 20전, 여방면 각 동에서 14환 60전, 주막리에서 13환 70전, 송장면 장안리·
가재동·이충동·동령리 등지에서 31환 27전, 병파면 합정리에서 20환, 일북 마산면 월경
리에서 17환 20전, 고두면 안화리에서 13환 20전 등 점차 각 동리에서 경쟁적으로 모금을
기탁했다.
한편, 마을 단위로 모금한 국채보상운동은 점차 개인이 직접 의연하는 모습으로 확산돼
갔다. 지물포를 운영하는 김종호金鍾浩, 김종원金鍾元, 장윤식張潤植 등 3인은 100환을 기탁
했으며 진위군의 김원식金元植은 10환, 류진기柳珍基, 최병훈崔秉薰, 류낙기柳洛基 등은 각각
2환을 최세창崔世昌, 최영근崔英根, 한수창韓壽昌, 이점복李占卜, 안춘명安春明은 각각 50전
을 의연했다. 또한 이서면二西面 월암동月岩洞의 원후태元厚台는 3환 40전을 사동寺洞의 김두희金斗熙는 3환, 이병규李炳奎는 1환을 의연했다. 이러한 사례는 당시 향촌 중심의 사회
에서 국가 위기에 따른 개인의 사회적 참여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이 밖에 평택읍 내면 상궁리上宮里, 남면 신성리, 동면 노도리, 진위군 신양리, 소길사면,서방면, 일암면 모산동, 오좌동, 서방면 신촌, 고두면 매방리, 율포리 주민들도 경쟁적으로 참여했다. 이러한 흐름은 1908년 1월까지 지속적으로 이뤄졌다.
[평택지역 국채보상운동 모금현황] 89)
읍면별 | 인원 | 모금액 | 비고 |
---|---|---|---|
평택읍 | 116 | 111환 84전 | |
송탄읍 | 269 | 88환 85전 | |
팽성읍 | 73 | 25환 20전 | |
진위면 | 218 | 91환 20전 | |
서탄면 | 79 | 27환 80전 | |
고덕면 | 307 | 71환 55전 | |
오성면 | 208 | 89환 41전 | |
안중읍 | 111 | 32환 10전 | |
계 | 1,381 | 537환 95전 |
평택 주민들의 참여가 압도적으로 많았던 것은 평택이 서울에 가까운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항일운동 소식이 신속하게 전달됐고 이로 인해 주민들의 항일 독립의식이 성숙된 것으로 보인다.
전 국민의 단합된 항일의지에 위기감을 느낀 일제는 이 운동을 방해해 지식인 계층을 분열시켰다. 국채보상운동은 비록 실패로 끝나고 말았지만 이 운동을 통해 항일 국권회복 운동에 대한 전 국민의 기대와 열의를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 이러한 항일 정신은 1910년 이후에도 민족 해방 운동으로 계승돼 갔다.
주석
89) 읍면별 명칭은 현재의 읍면으로 구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