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개설과 평택의 유통구조 > 역사

본문 바로가기
역사 > 근대 >개항과 평택 >철도와 평택의 유통구조 >철도 개설과 평택의 유통구조
■ 철도 개설과 평택의 유통구조

본문

1905년 평택역이 생기자 평택과 안성지역에서 산출되는 농산물은 평택역을 통해 발송되고, 평택 주변 지역에서 소비되는 각종 공산품과 수입 일용품 등이 평택역을 통해 들어왔다. 평택역 발송화물 중 서해안에서 생산되는 해산물과 소금 등이 상당량 확인된다. 그리고 안성시장을 거쳐 평택역으로 반출되는 상품은 주로 미곡·잡곡·우피 등 농축산물이었다. 도착화물은 대부분 일용품과 수입품인데, 대부분이 안성시장을 거쳐 주변시장으로 공급됐다. 평택시장으로 이입된 곡류와 소금, 해산물은 인근 지방으로 공급돼 소비되기도 했지만 대부분 철도편으로 보내졌다. 특히 소금과 해산물은 평택시장에서 집산돼 이출되는 화물이지만 안성시장에서는 보이지 않아 서해안지역 해산물과 소금이 평택시장으로 집산 이출됐음을 보여준다. 평택역 개설로 상품유통에 보다 큰 영향을 받은 것은 서해안 일대 지역이었다.

일본이 평택역을 설치한 것은 경제적인 목적에서였다. 안성천 주변의 미개간지와 궁방전, 역둔토는 매력적인 대상이었을 것이다. 철도역 중심으로 곡물과 소금, 어물이 매집되면서 자연스럽게 평택장이 형성됐다.

평택장은 1910년대 초반 양성군에 있던 소사장을 평택역 근처로 옮긴 것이다. 시장은 평택평야와 안성천·진위천 수로를 통해 유입되는 상품들의 도매 또는 소매시장 역할을 했다. 시장은 본정통 평화병원 남쪽부터 시작됐다. 본정통의 일본인 상점에서는 잡화 등 근대적인 상품을 팔았지만, 조선인 시장의 주요 상품은 쌀과 어염魚鹽이었으며 농우農牛도 중요 상품이었다. 이전 초기 평택장은 안성장이나 둔포장보다 규모가 작았고, 시장배후지도 작으나 철도역이 주요시장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본조건이었다. 1920년대 후반에 이르면 서해안 일대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던 둔포장을 제압하고 충남북부의 서해안까지 포괄하는 시장으로 성장했다. 이것은 충남 아산 일대 서해안 지역의 상권이 평택역을 중심으로 한 상업권 안에 포섭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1910년대 전반기를 거치는 사이 평택은 경기남부지역 및 충남 서해안 일대의 생산품들이 이출되고, 이 지역에서 소비되는 일용품이 이입되는 중계지 기능을 하고 있었다. 서울 및 원거리 상업지와의 교역을 담당한 안성도 평택에 종속돼 갔다. 안성보다는 규모가 작았으나 역시 서해안 일대에서 상업권을 장악하고 있던 둔포시장 역시 평택역에 종속됐으며, 1920년대에는 둔포시장 상권도 평택에 넘겨주게 됐다. 경기도 남부지역의 상품유통구조는 지역내 시장이면서 동시에 지역간 중계상업지였던 안성을 중심으로 한 이출입 구조에서 평택 중심의 이출입 구조로 변화됐으며, 수로와 육로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춘 평택은 둔포를 중심으로 형성된 서해안 유통중계권과 상권도 장악해 나갈 수 있었다.

평택지역 주변의 상품유통구조를 평택역 중심으로 재편성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주 변지역과 평택을 연결하는 도로를 개수하는 일이었다. 1911년 죽산에서 안성, 안성에서 평 택을 연결하는 도로를 개수했다. 죽산에서 장호원에 이르는 도로도 건설돼 장호원~안성~ 평택으로 이어지는 상품유통의 기간시설이 완비됐다. 『경기도안내京畿道案內』에 평택을 “경 기·충청 양도, 연안과의 교통이 매우 편리하다. 평택평야는 동서 약 80리, 남북 약 30리 에 달하는 대지적大地積으로서 땅이 비옥하고 또 수리水利도 부족하지 않아 근래 농업에 주 목하는 내지인이 많다. 특히 동쪽은 장호원, 서쪽은 아산으로 통하는 도로가 개수됐기 때 문에 화물의 집산지로서 좋은 위치를 점한다. 근대 미곡집산이 매우 많아 평택역 1년 이출 수량이 1천 톤 이상이다. 경부선 가운데 저명한 쌀 집산지가 되기에 이르렀다. 내선인內鮮人 이 협동해 미곡동업조합을 설치해 미질米質의 개량에 노력하기 때문에 근대 평택미로 서 그 성가가 높아지기에 이르렀다”고 소개하고 있다. 평택이 상업중심지로 번창하자 주 변에는 군청이나 경찰서와 같은 관공서·금융기관·공공기관·미두검사소 등이 소재하는 시가지와 상업지가 자리 잡게 됐다.

평택역의 지리적 조건은 평택평야를 배후지로 한 곡물산지, 동서와 남북을 연결하는 교 통상의 편리성이 있었다. 평택은 철도를 통해서 유통뿐만 아니라 서해안과 내륙을 연결하 는 전통적인 유통 중계지 역할도 하고 있었다.





(김방_국제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高宗實錄』, 『 梅泉野錄』, 『大韓季年史』, 『舊韓國官報』.

『通商彙纂』, 『京畿道案內』, 『財務彙報』, 『京畿道要覽』.

『平澤郡誌』, 평택군지편찬위원회, 1984.

『平澤市史』, 상권, 평택시사편찬위원회, 2001.

『평택항 개항 20년사』, 평택항 개항 20년사 편찬위원회, 2007.

김해규, 『평택 역사산책』, 평택시민신문, 2013.

『松炭市史』, 송탄시사편찬위원회, 1994.

『오산시사』 1, 오산시사편찬위원회, 2009.

『경기도사』 제6권, 경기도사편찬위원회, 2004.

『주한일본공사관기록 1』, 국사편찬위원회, 1986.

『한국사』 36, 37, 39, 40, 44. 1997-2000.

강만길, 『한국근대사』, 창작과 비평사, 1989.

정재정, 『일제침략과 한국철도』,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안병직 편, 『近代朝鮮의 經濟構造』, 비봉출판사, 1989.

이현희, 『동학사상과 동학혁명』, 청아출판사, 1984.

신용하, 『동학과 갑오농민전쟁 연구』, 일조각, 1993.

황현 저 김종익 역, 『오하기문』, 역사비평사, 1995.

하원호, 『한국근대경제사』, 신서원, 1997.

허영란, 「1910년대 경기남부지역 상품유통구조의 재편」, 『역사문제연구』 2호, 역사비평사, 1997.

김흥수, 「일본 역사교과서의 강화도조약 기술 검토」, 『동북아역사논총』35호, 2012.

한국사연구회, 『1894년 농민전쟁연구』 1∼5, 역사비평사, 1991∼1997.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