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링크
본문
현재의 법정지명
조선시대 진위현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옛 진위군의 군내면郡內面·일북면一北面·이북면二北面·마산면馬山面·일서면一西面·이서면二西面·일탄면一炭面·이탄면二炭面·고두면古頭面·병파면丙坡面·성남면城南面 등으로 추정된다.2)
[조선시대 진위현 지역으로 추정되는 현재 지명(영신현, 송장부곡, 청호역 지역 제외)]
구분 | 현재 법정 지명 |
---|---|
송탄지역 | 독곡동, 서정동 일부, 신장동, 장당동, 지산 |
평택지역 | 군문동 일부, 비전동, 세교동, 신대동, 유천동 일부, 지제동, 통복동 일부 평택동 일부, 합정동 일부 등 |
진위면 | 가곡리, 견산리, 고현리, 동천리 일부, 마산리, 봉남리, 신리, 야막리 은산리 일부, 청호리 일부, 하북리 |
서탄면 | 사리, 수월암리, 내천리, 금암리, 마두리, 회화리, 적봉리, 장등리, 금각리 |
고덕면 | 궁리 일부, 동고리 일부, 방축리 일부, 여염리, 율포리, 좌교리, 해창리 일부 |
오성면 | 교포리 일부, 신리, 안화리 일부 |
행정구역의 변천3)
진위현은 백제의 송촌활달松村活達이었다가 부산현釜山縣으로 고쳤다. 신라 통일 후 757년(경덕왕 16) 진위현으로 바뀌어 수성군의 영현이 됐다. 고려시대까지 진위현이라는 이름은 그대로 이어지다 1018년(현종 9) 군현 개편으로 수주水州의 속현이 됐다. 지방관은 1172년(명종 2) 감무가 있다가 후에 현령으로 바뀌었다. 조선에서도 고려의 행정지명이 그대로이다가 1398년(태조 7) 충청도에서 경기도로 편입됐다. 이 때 수원에 속했던 청호역은 지리적으로 진위현에 훨씬 가까웠기 때문에 진위현에 편입됐다.
1424년(세종 6) 4월 경기감사가 진위현은 땅이 비좁고 백성이 적은 쇠잔한 고을인데 큰길 옆이어서 그 폐가 매우 많아 가까운 수원 관내의 송장松莊 87호, 부산釜山과 청호역菁好驛의 59호, 용인현龍仁縣·의신현義信縣의 6호를 떼어서 진위현에 편입할 것을 요청해 이들 지역은 진위현에 속하게 했다.4) 1433년(세종 15) 6월 수원에 속하던 영신현은 진위현에 편입됐다.5)
| 여지승람도 경기 |
*아랫부분에 수원·진위·양성 등이 보인다
1843년 진위현지에 진위현은 현내면縣內面·마산면馬山面·서면西面·송장면松莊面·병파면丙坡面·고두면古頭面·성북면城北面·탄현면炭峴面·여방면餘方面·동면東面·성남면城南面 10개 면을 두었으며 1872년과 1899년 진위현지에서는 13개면으로 기록돼 있다.6)
1895년(고종 32) 갑오개혁 때에는 8도제를 폐지하고 23부제府制로 개편해 진위현은 공주부公州府진위군으로 바뀌었으나 1896년 13도道제로 행정구역이 다시 바뀌면서 진위군은 경기도에 속했다.
주석
2) 『三國史記』, 『高麗史』 地理志, 『世宗實錄地理志』, 『新增東國輿地勝覽』, 『輿地圖書』, 『水原府邑誌』, 『振威縣邑誌』,『陽城縣邑誌』, 『平澤縣邑誌』, 『稷山縣邑誌』, 『靑丘圖』, 『大東輿地圖』
3) 『世宗實錄地理志』. 『新增東國輿地勝覽』, 각 邑誌와 『大東地志』 등이며, 특히 『대동지지』의 서술을 기본으로 다른 서술을 첨가했다. 만약 문헌에 따라 차이가 있다면 주석으로 밝힌다.
4) 『世宗實錄』 권24 6년 4월 21일 병인.
5) 『世宗實錄』 권60 15년 6월 23일 병인.
6) 현내면(縣內面)·일북면(一北面)·이북면(二北面)·마산면(馬山面)·일서면(一西面)·이서면(二西面)·일탄면(一炭面)·이탄면(二炭面)·송장면(松莊面)·여방면(餘方面)·고두면(古頭面)·병파면(丙坡面)·성남면(城南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