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해운·항만의 발전사 > 경제와 산업

본문 바로가기
경제와 산업>산업>2차산업>해운·항만>우리나라 해운·항만의 발전사
■ 우리나라 해운·항만의 발전사

본문


연대별 해운·항만산업의 발전추이


항만은 국가의 경제발전을 직접적으로 주도하는 상공업 활동과 연계해 국제교역을 증진 시키는 중요한 요소다. 경제성장의 선행 조건적 시설이며 해운 및 무역촉진이라는 직접 적 효과와 연관 산업을 발전시키는 간접효과를 유발·선도하고 있다. 전 세계 교역량의 약90%가 항만에서 처리될 정도로 항만은 국제교역의 핵심인프라다. 우리나라도 수출입 물 동량의 약 99.7%가 항만을 통해 처리되고 있으며 중공업 활동의 전진기지 역할도 하고 있다. 우리나라 해운의 태동기인 1950년대부터 1960년대의 생성기, 1970년대의 성장기를 거쳐 2000년대까지의 해운과 항만산업의 연대별 발전 연혁은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해운·항만산업의 연대별 발전 연혁]21)


연대별 외항 해운산업 항만산업
1950년대
〔태동기〕
《국영선사시대》
•최초 국외(미주) 취항(’50)
※ 극동해운 “고려호”
•대한선주협회 설립(’54)
•대형선주협회 설립(’57)
•항만하역산업의 태동기
·군수물자, 복구 및 구조물자 급증
·기자재 등 수입물자 급등
※ 하역장비 도입(작업형태 변화)
1960년대
〔생성기〕
《해운산업 육성》
•한국선주협회 설립(’60)
※ 기존협회 통합
•선원법 제정(’62)
•해운진흥법 제정(’67)
※ 세제지원, 장려·보조금 지원
•대한해운공사의 민영화(’68)
※ 포스코 창립으로 전용선대 도입
《진흥 육성》
•도선법과 개항질서법 제정(’61)
•항만운송사업법 제정(’63)
ㆍ등록제 → 면허제
ㆍ다양한 하역장비 도입
•항만법 제정(’67)
ㆍ항만건설 촉진
ㆍ효율적 관리·운영
1970년대
〔성장기〕
《선복 증강시대》
•국적 외항선사 운임수입 1억불 돌파(’72)
※ 산업자본의 해운업 진출
•오일쇼크 2회(’73, ’78)
•풀 컨테이너선 최초 도입(’75)
•해운항만청 창설(’76. 3)
•운임수입 10억불 돌파(’79)
※ 세계 25위의 중진 해운국 진입
《항만시설 확충 및 현대화》
•전용 컨테이너선 입항
ㆍ부산항(’70. 3. 1), 인천항(’70. 4. 2)
•전용 컨테이너 부두 개장
ㆍ인천항(’74) : 전용 도크(갑문)
ㆍ부산항(’78)
•부두 전용화(TOC) 시행
•해운항만청 개청(’77. 12)
1980년대
〔구조 개편기〕
《국내 해운시장의 대외개방》
•해운산업 합리화 계획 추진(’83)
※ 63개사 20개 그룹 선사로 정리(’88)
•관련 법률정비(개정) : 규제 완화
ㆍ해상운송사업법 → 해운업법(’83)
ㆍ해운진흥법 → 해운산업육성법(’84)
•SEA랜드 한국지사 설치 허용(’89)
※ 한국 해운시장 개방
•한·중간 직항로 개설(’89. 6. 15)
※ 장금유한공사(한ㆍ중 합작선사)
《성장과 번영시기》
•항만시설의 본격적 확충과 항만
•물동량 및 하역수요의 급증
ㆍ접안능력 확대
(’80) 191선석 → (’89) 363선석
ㆍ하역실적
(’79) 7,950만톤 → (’89) 2억 4200만톤
ㆍ컨테이너 물량
(’78) 50.7만TEU → (’89) 215.9만TEU
※ 부산항 세계 9위 진입(’85)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법 시행(’89)
1990년대
〔국제화기〕
《대외개방 확대》
•무한경쟁 환경
ㆍ보호규제 → 자율개방
ㆍ보유선대 중심 → 지배선대
ㆍ자국화물 중심 → 세계화물 중심
•한·중 카훼리 항로개설(’90. 9)
•세계일주 항로개설(’91, 조양상선)
•해양수산부 발족(’96)
※ 각종 제도 정비 및 규제완화
ㆍ외항 해운업 : 면허제 → 등록제
ㆍ등록조건의 완화
ㆍ선박도입 관세 철폐(’97)
《민자개발 시대 돌입》
•부산 & 광양항의 Two-Port 시스템
ㆍ광양항 1단계 개발 착수(’93.1)
ㆍ가덕신항만 기본계획고시(’96)
•인천항 국내 최초 민자개발(’97)
•TOC제도의 본격 도입시행(’97)
2000년대
〔재도약기〕
《선진해운국 진입과 위기 도래》
•해운하기 좋은 나라 정책추진
ㆍ제주선박 등록 특구제도(’02)
ㆍ외국인 선원고용 확대(’03)
ㆍ선박 톤세 제도 도입(’05)
ㆍ세계5위의 지배 선복량 보유(’09)
•혹독한 시련 및 해운 위기 도래
ㆍ조양상선의 파산선고(’01. 9)
ㆍ국제원유가 상승 및 고공행진
ㆍ세계금융위기로 인한 충격·불황
ㆍ해양수산부 폐지(’08)
《민영화 및 외국기업의 국내진입》
•항만공사법 제정(’03. 5. 29) 추진
ㆍBPA 출범(’04. 1 .1)
ㆍIPA 출범(’05. 7)
ㆍUPA 출범(’07. 7)
ㆍGYPA 출범(’11. 8)
•최소 운영수입 보장 제도(MRG)
도입(’98)과 폐지(’06)
※ 항만의 민간(외국인 포함)투자
촉진 목적으로 시행
•항만노무 상용화 도입(’07)
※ 부산, 인천, 평택항


연대별 항만개발 정책과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항만 투자방향


항만개발 및 운영 주체는 국가(중앙정부) 국유국영(일부 국유민영) 체제다. 항만시설은 국가 안보시설이자 SOC(사회간접자본시설) 시설로 공공성이 강조돼 공공재公共財로 분류 한다. 급속한 공업화 추진에 대한 대처와 민간자본 및 기술축적 부족, 국토의 일부인 공유수면, 막대한 초기 투자자본 비용의 매몰 및 회수기간 장기화 등의 요인은 국가주도의 항 만개발을 가져왔다. 항만개발 추이와 항만시설 투자패턴은 1960년대 초에 시작된 경제개발 5개년 계획 및 경제발전 단계와 흐름을 같이하고 있다.



[연대별 항만개발 정책과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항만 투자방향]22)


구분 항만개발 정책방향 경제개발 5개년 계획
기반조성기
〔’61~’70〕
•항만법 제정(’67)
•수출·입 화물부두 위주로 개발
•제1차 계획(’62~’66)
ㆍ기간산업의 건설과 에너지 공급원 확보
ㆍ농수산 분야의 생산증대를 위한 수입원료
하역을 위한 대형 부두건설
•제2차 계획(’67~’71)
ㆍ노동 집약적 경공업중심, 대외 지향적 공업화
전략에 따른 지원항 필요
→ 임해 공업항 건설 및 시설확장에 중점
성장지원기
〔’71~’80〕
• 중화학 공업기지의 원을 위한
•사업 항만 본격 개발
• 울산·포항 등 주요항만에
•집중적인 투자
•제3차 계획(’72~’76)
ㆍ항만시설의 국제규모로 확충
ㆍ하역장비의 현대화 추진
•제4차 계획(’77~’81)
ㆍ수입화물 증대 : 시설 확충
ㆍ지역 균형발전 : 연안 부두시설
발전성숙기
〔’81~’90〕
• 수송 패턴 변화에 대비한 대규모
•중심항만 개발 추진
•양곡·석탄부두 등 화물별 전용
•부두 개발
• 부산항·광양항 컨테이너 전용
•부두 개발
•제5차 계획(’82~’86)
ㆍ수용수요에 대비한 시설확장
ㆍ신항만 개발
ㆍ국가 에너지 수급계획에 따른 대형 석탄부두
건설에 역점
•제6차 계획(’87~’91)
ㆍ주요 항만의 확장
ㆍ국토의 균형발전 정책에 의한 연안 수송능력
강화 차원의 연안 화물부두 확장에 중점


주석

21) ① 해양수산부·국토해양부, 항만편람, 각 년도 인용 ② 해운항만물류 전문지(해양한국, 한국해운신문, 쉬핑데일리) 인용
22) 해수부, 친수성 항만공간개발 실시계획 검토 및 기본구상(’98.4)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