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운동의 생산 기반 조성사업 > 역사

본문 바로가기
역사 > 현대 >현대사회와 평택의 변화 >새마을운동 >새마을운동의 생산 기반 조성사업
■ 새마을운동의 생산 기반 조성사업

본문

기반 조성사업 개관


새마을 사업의 궁극적인 목표는 농어업 생산성 증가, 농어가 소득증대, 문화·복지 향상을 통한 생활개선이다. 근대적인 생산방법으로 소득증대를 이루기 위해서는 취약한 농촌의 기반 조성사업이 기초가 돼야 했으며 이를 새마을 사업을 통해 이루려고 시도했다. 생산기반 조성사업은 대상사업의 종류와 내용에 따라 다양하다. 사업규모와 투자 면에서도 개별적인 환경개선사업이나 단편적인 생산사업과는 성질이 다르다.
새마을운동 초기단계에는 환경개선을 중심으로 생활환경 정비에 치중했으나 1974년부터는 부락단위를 벗어나 마을 주변의 생산기반 조성사업 확충에 역점을 두었다. 점진적으로 사업종류와 내용 및 규모면에서 확대됐으며 마을과 마을이 협동하는 새마을 협동권 사업으로 발전했다. 그 결과 새마을 사업에 대한 주민들의 의식구조가 거시적·장기적·미래지향적인 방향으로 변화됐으며 새마을 사업을 추진하는 내용과 질적인 면에서도 과학적·진취적으로 변모해 소기의 목적을 달성했다.



농업 생산 기반 조성사업


취로사업중인 현덕면 신왕2리 부녀회원들(1979)

| 취로사업중인 현덕면 신왕2리 부녀회원들(1979) |



우리나라 농어촌은 생산 기반이 취약한 환경 때문에 생산성이 낮았다. 따라서 농어촌의 근대화를 위해서는 농어업의 생산기반 조성이 무엇보다 중요했다. 필요한 농경지 확보와 이에 대한 안전한 용수원 개발 그리고 농경지 정리와 배수개선 등 안정 영농기반을 확립해야 식량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농업 생산기반 조성사업은 농민 개개인의 노력이나 재력만으로는 어려우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투자가 요구되는 사업이 다. 1970년대 초 새마을 가꾸기 사업 은 새마을운동의 기본적인 사업 중 하 나로 첫째, 생산기반 조성 둘째, 소 득증대 셋째, 마을환경 개선이다. 생 산기반 조성사업은 공동 퇴비장, 공 동 작업장, 공동축사, 공동창고, 소하 천 개보수, 교량 및 안길확장, 농로확 장 및 포장, 경지정리 및 배수개선사 업, 저수지 및 보설치, 농업용수개발 등이다. 평택군에서 추진한 1972년부터 1982년까지의 사업 추진 실적은 공동창고 175동 4,939평(사업비 2억 9천6백만 원), 공동축사 14건 306평(사업비 2천2백만 원), 공동 작 업장 27개소 887평(사업비 5천7백만 원), 공동 건조장 19동 890평(사업비 1천4백만 원), 마을 진입로 포장 448개소 139,349m(사업비 2억 8천4백만 원), 마을안길포장 724개소 142,929m(사업비 13억 8백만 원), 농로개설 및 확장 521개소 272,887m(사업비 4천5백 6십만 원), 교량 및 암리 설치 109개소 517m(사업비 3억 7천2백만 원), 소하천정비 49건 11,482m(사업비 3억), 선착장 설치 2개소 110m(4백5십만 원), 마을안길확장 1,435개소 261,534m(사업비 5억 7천4백만 원) 총 3,523건을 지원 18억 5천만 원, 자부담 26억 7천 만 원, 총 사업비 45억 2천만 원으로 기반 조성사업을 추진했다. 목표치에는 미흡했지만 농촌마을이 전근대적인 모습에서 탈피해 획기적인 발전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


[1971∼1982년 새마을 운동 추진실적] 128)


구분 사업량 사업비(단위 : 천 원)
사업명 동·개소 평수(평,㎡) 지원 주민부담
  3,388 건 4,524,108 1,850,521 2,673,587
마을회관 395 9,030.2 559,214 214,449 344,715
공동창고 175 4,939.2 276,825 96,005 180,820
경로당 6 140 20,966 7,150 13,816
목욕탕 12 65 5,107 3,355 1,752
공동축사 14 306 22,329 10,727 11,602
공동작업장 27 887.18 57,581 23,065 34,516
공동구판장 57 635.5 47,226 18,163 29,063
공동이·미용소 8 189.5 4,120 3,900 220
공동건조장 19 890 14,644 7,375 7,269
도정공장 10 412.5 26,118 2,075 24,043
취사장 4 60 4,550 1,500 3,050
마을진입로 포장 448 139,349 284,536 122,335 162,201
마을안길 포장 724 142,929 1,308,935 501,574 807,361
농로개설 확장 521 272,887 456,200 226,457 229,743
교량및암거 설치 109 517 372,771 166,448 206,323
세월교 건설 2 131 13,165 9,162 4,003
소하천 정비 49 11,482 30,992 12,945 18,047
선착장 정비 2 110 453 288 165
하수구 설치 806 102,454 443,555 187,479 256,076
마을안길 확장 1435 261,534 574,821 236,014 338,802


녹색 혁명의 성취


새마을 사업을 통한 주곡자급이라는 녹색혁명을 달성하기까지 평택군의 사업개요는 생산기반 조성사업으로 소하천 개보수를 중심으로 제방보수, 석축, 암거, 토관 보설치, 도수로설치, 수문설치 및 보수, 농로 보수 및 확장사업을 했다. 또한 농촌도로정비 및 포장을 통한 농기계 작업이 원활하도록 했다. 마을에는 공동창고 공동퇴비장, 농기구센터, 공동작업장 등을 설치해 영농비용을 절감하도록 했다. 동시에 증산시책으로 벼 다수확품종개량과 보급지력 증진을 위한 퇴비생산에 총력을 기울이고 선진 농사기술을 향상시킴으로써 식량증산에 박차를 가했다.
정부의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이전인 1965년도 평택군의 미곡 생산량은 경지면적 14,829ha에서 43,459M/T 였다. 이후 1970년 제3차 경제 개발 계획에 의거 농촌의 농업 생산 기반 조성과 과학 영농 등을 통해 1974년 전국적으로 30,867천석의 쌀을 생산했고 1975년에는 주곡자급이라는 녹색혁명을 일으켰다.
평택군에서도 1975년도 미곡 생산량은 15,557ha에서 60,668M/T 였다. 1965년과 비교 하면 단보당 생산량이 293kg에서 390kg으로 133%의 증수를 가져왔고 39% 증가된 생산 량을 기록했다. 초기 새마을 운동은 식량증산을 위해 퇴비증산과 객토를 통한 지력증진에 역점을 두었다. 또한 다수확 신품종 개발과 재배확대를 통해 식량 증산에 총력을 기울였다.

주석

128) 평택군 새마을과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