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덕면 > 평택시 지명유래

본문 바로가기
평택시 지명유래 > 현덕면
■ 현덕면

본문


권관리權菅里


조선후기 수원부 가사면 가사곶 지역. 1914년 권관리·고잔리를 통합해 권관리라고 했다.



• 권관權管 : 지형이 닭의 머리를 닮아서 ‘닭이머리’ 도는 ‘계두鷄頭’라고 하던 것을 벼슬 관을 써서 권관權官이라고
     했다. 나중에 한자가 바뀌었다.

• 상하동上下洞 : 권관1리의 자연마을. 상부동上部洞과 하부동下部洞으로 나뉘어졌다가 합쳐 지면서 형성된
     지명이다.

• 가삿골 : 권관리의 옛 지명. 마을의 지형이 곶이어서 ‘가사곶’ 또는 ‘가사고지’라고 했던 데서 유래됐다.

• 고잔高棧 : 권관2리의 자연마을. 바닷물이 들어오고 곶이 발달해 유래됐다.

• 문곡 : 권관3리의 자연지명. ‘황새울’이라고도 한다. 바닷물이 들어오고 갯벌이 발달했을 때 황새들이 날아들어
     유래됐다.

• 가사佳士 : 권관4리의 자연마을. 갑오개혁 뒤 수원군 가사면의 소재지에서 유래됐다.

• 모산牟山 : 밀보리牟가 잘돼서 유래됐다.



기산리岐山里


조선후기 수원부 가사면 지역. 1914년 기산·수산·천곡을 통합해 기산리라 했다.



• 천곡泉谷 : 기산1리의 자연지명. 좋은 우물이 있어 ‘샘골’이라고 했다.
     현덕면의 면소재지였으며 기산리에 위치해 기천곡(아랫샘골)이라고도 한다.

• 수산水山 : 가산2리의 마을. 물가에 위치해 ‘물미’, ‘물뫼’라고도 부른다.

• 원기산 : 기산3리의 마을. 옥녀봉이 깃대처럼 높게 솟아 유래됐다는 설이 있다.



대안리大安里


조선후기 수원부 광덕면 지역. 1914년 대안동·학진리·소외리 일부를 통합해 대안리가 됐다.



• 소외小外 : 큰박골(대외)의 최초 입향자였던 함양 박씨가 분동하면서 형성한 마을. ‘작은박골’이라고도 한다.

• 사랑현舍廊峴 : 대안2리의 자연마을. 옛날에는 부유해 사랑(난간)만 딛고도 건너 다닐 수 있었다는 데서 유래했다.

• 대외大外 : 대안3리의 자연지명. 함양 박씨의 최초 입향지여서 ‘큰박골’이었는데 이것을 한자로 ‘대외’라 했다.

• 구진鳩津 : 대안4리의 자연지명. 엣날에는 ‘홍진鴻津’ 또는 갈매기가 많이 날아들어 ‘구진개’라고 했다. 안성천
     하류의 대표적인 어항이었다.

• 의경재 : 대안2리의 자연마을.

• 뱀골 : 대안2리의 자연마을. ‘학동學洞’ 또는 나루가 있어 ‘학진’이라고도 했다.
     본래 마을에 서당이 있어서 ‘배움골’이라고 했던 것을 소리 나는 대로 ‘뱀골’이라고 했다.



덕목리德睦里


고려시대 광덕현의 중심이었고 조선후기에는 수원부 안외면과 광덕면이었다.
  1914년 백석동·소당리·광덕면 덕목리·연화리·소외리 일부를 통합해 덕목리라 했다.



• 덕목 : 고려 말 두문동에 은거했던 어촌공漁村公 공부孔俯가 조선왕조의 출사를 거부하고 숨어살면서 덕행과 화목을
     강조해 유래됐다.

• 소당蘇堂 : 덕목 1리의 자연지명. ‘소댕이’라고도 한다. 중국 송나라의 시인 소동파의 글을 현판에 걸어놓은 집이
     있어 유래했다.

• 백석白石 : 덕목2리의 자연지명. 옛날 날개 달린 장수가 마안산 봉우리에서 북쪽을 향해 200여 근이 넘는 차돌을
     던진 것이 마을 입구에 떨어져 차돌백이라고 했는데 차돌이 박힌 곳에 마을이 형성돼 유래됐다. 현재 차돌은 마을
     서남쪽 공터로 옮겨졌다.

• 냉정冷井 : 덕목 3리의 자연지명. 맑고 찬 우물이 있어 ‘찬우물’이라고 했던 데서 유래됐다.

• 원덕목元德睦 : 덕목4리의 자연지명으로 광덕현廣德縣의 읍치邑治였던 곳이다.

• 은곡隱谷 : 덕목5리의 자연지명. 어촌공 공부가 은거했던 마을에서 유래됐다. 영양 진씨의 열녀 정려가 있어
     ‘정문골’이라고도 한다.

• 연화동 : 덕목6리. 바닷가 마을이어서 물위에 뜬 연꽃과 같아서 유래됐다.



도대리道垈里


조선시대 수원군 현암면 지역. 1914년 천곡리·문곡리 일부를 통합해 진위군 현덕면 도대리라 했다.



• 도대 : 지형이 돛대와 같다고 해 ‘돛대’, ‘되떼’라고 불렀던 것을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 천곡泉谷 : 도대1리의 자연지명. 좋은 우물이 있어 ‘샘골’이라 했고, 도대리에 위치해 ‘도천곡’이라고 했다.

• 원도대元道垈 : 도대2리의 자연마을. 도대리에서 제일 먼저 생긴 마을.

• 문곡文谷 : 도대3리의 자연지명. 권관리 문곡마을과 구별해 ‘도문곡’ 또는 글 읽는 사람이 많다고 해 ‘글갱이’라고도
     한다.



방축리防築里


조선시대 수원군 현암면 지역. 1914년 방축동·신기동·승량동면의 국리를 통합해 방축리라 했다.
  방축은 방죽말에서 유래됐다. 자연마을은 ‘방죽말(1리)’과 ‘국말(2리)’로 나뉜다.
  방죽말은 다시 ‘새터’, ‘수사리’, ‘방죽말’로 구분되고 국말은 ‘윗말’, ‘아랫말’, ‘갈마지’로 나뉜다.



• 원방축元防築 : 방축1리의 지명. 마을 입구에 논방죽이 있어 ‘방죽말’이라고 했던 것을 한자로 ‘방축’이라 했다.
     자연마을로는 ‘새터’, ‘수사리’, ‘방죽말’이 있다.

• 국리菊里 : 방축2리의 마을지명. 본래 궁리라 했지만 ‘조선 인조 때 이괄의 난이 일어났다. 반란군의 기세에 깜짝
     놀란 인조임금은 서둘러 공주로 피난을 나섰다. 그때 임금이 마을을 지나다가 하룻밤을 유숙하게 됐는데 그 뒤로
     행궁(별궁)이 있었다고 해 궁리宮里라고 했던 것을 나중에 음이 변해 국리가 됐다’.
     국리는 윗말·아랫말·갈마지로 나뉜다.

• 신기新基 : 새로 터를 잡은 마을이라는 뜻이다.

• 와촌瓦村 : 기와집이 있는 마을에서 유래됐다.



신왕리新旺里


조선후기 수원부 광덕면 지역. 1914년 신왕골·마두리·와촌을 통합해 신왕리라고 했다.
   안성천 하류의 대표적인 나루이며 어항이었다.



• 마두馬頭 : 신왕1리의 지명. 지형이 말머리를 닮아 ‘말머리’라고 하다가 한자로 ‘마두’로 표기했다.

• 마산·새터말,·기왓말(와촌)·속말 : 신왕1리의 자연마을.

• 원신왕新旺 : 신왕2리의 마을 지명.

• 고등산 : 본래 고려시대 광덕현의 주산이라 광덕산이라고 했던 것을 근대 이후에 고등산으로 바뀌었다.

• 마안산 : 일제강점기 때에도 산 정상부에서 정월 대보름에 망월을 해 ‘망운대산’이라고 했던 것을, 해방 전후 산의
     형세가 말의 안장과 같다고 해 ‘마안산’이라고 했다.



운정리雲井里


조선시대 수원부 포내면 지역. 1914년 한리·벽우리·구억촌·운정리를 통합해 운정리라 했다.
   운정은 ‘구루물’의 한자 지명이다.



• 피우치避憂峙 : 운정1리. 옛날 유명한 승려가 우강산(부엿산)을 넘으면 모든 근심을 덜고 살 수 있다고 해 유래됐다.

• 원운정元雲井 : 운정2리 마을. 1만 명이 마실 수 있는 좋은 우물이 있었는데 항상 구름이 서려 있어 유래됐다.

• 검덩굴 : 운정2리의 자연마을.

• 구억촌九億村 : 운정3리의 자연마을. 구석 쪽에 위치해 유래됐다. 옛날 장구억張九億이란 부자가 일꾼에게 고기를
     먹이려고 노루를 잡은 이후 가세가 기울어 모두 이사해버렸는데 마을 사람들이 장구억이 살았던 곳이라 해
    ‘구억촌’이라고 했다는 전설이 전해온다.

• 외집매 : 운정3리의 자연마을.



인광리仁光里


조선시대 수원군 현암면 지역. 1914년 양산·인광리·송담 일부·보개동·안외면 송담리·창촌을 통합해 인광리라고 했다.
   1930년대 중반, 천곡에서 면사무소가 옮겨오면서 현덕면소재지가 됐다.



• 원인광元仁光 : 인광리의 중심마을에서 인광·인괭이·양지바른 곳에 위치해 양짓말로 부른다.

• 점촌店村 : 인광2리의 마을 지명. 조선 후기 박해받던 천주교인들이 옹기가마를 운영하며 그릇을 굽던 마을이다.

• 하양산下楊山 : 인광3리의 마을. 버드나무가 우거져서 ‘버들미’라고 했으며 버들미의 아랫마을이어서 ‘아랫버들미’
     또는 ‘하양산’이라 불렀다.

• 상양산上楊山 : 인광 4리의 마을. 버들미의 윗말에서 유래됐다.

• 문화동文化洞 : 인광5리의 마을다. 피난민촌으로 뗏장으로 집을 짓고 살아서 ‘뗏장거리’,‘난민촌’이라고 부르다가
    ‘문화동’으로 고쳤다.

• 보시동寶蓍洞 : 바닷물이 들어올 때 ‘보시곶’ 또는 ‘보시꼬지’였다가 나중에 ‘보시동’으로 고쳤다.



장수리長水里


조선시대 양성군 승량동면. 갑오개혁 뒤에는 수원군 가사면 지역이었다. 1914년 ‘두메리라고 했다.
   1938년 주민들의 요구로 장수리로 바뀌었다.



• 두메 : 장수리의 옛 지명. 산너머 후미진 곳에 마을이 형성돼 유래됐다.

• 석화진 : 장수리에 있었던 옛 나루.



화양리華陽里


조선시대 수원군 현암면 지역. 1914년 화양동·한촌·용동·당현·언성리·문곡리 일부를 통합해 화양리라 했다.
   화양이라는 지명은 ‘행궁이’에서 왔다. 행궁이를 ‘화양’이라고도 불렀기 때문이다.



• 화양華陽 : 햇볕이 잘 드는 마을이어서 유래됐다.

• 당현堂峴 : 화양1리의 마을. ‘당고개’, ‘당재’에서 유래됐다.

• 용동龍洞 : 화양2리의 마을. ‘용골’이라고도 부르며 마을 우물에서 용이 솟아 하늘로 날아올랐다는 전설에서
     유래됐다.

• 행궁이 : 화양1리의 자연지명. 옛날 임금이 머물렀던 행궁이 있었다 한다.



황산리黃山里


조선후기 충청도 직산현 안중면지역. ‘느늘미’ 또는 ‘황산당’이라 했다.
   1914년 황산당·안외면 창촌·광덕면 소외리 일부·가사면 안중리를 통합해 황산리라 했다.



• 상안중上安仲 : 황산1리의 마을. 조선시대 직산현 안중창이 있어 유래됐다.

• 직산장터 : 황산1리 상안중 동쪽 직산장이 섰던 장터가 있어 유래됐다.

• 직산촌稷山村 : 황산2리 하안중의 다른 지명. 옛 직산현 안중면에 속한 마을에서 유래됐다.

• 원황산元黃山 : 황산3리의 마을. 물굽이가 형성된 바닷가 마을에서 ‘느늘미’ 또는 ‘황산당’이라 했다.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