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성면 > 평택시 지명유래

본문 바로가기
평택시 지명유래 > 오성면
■ 오성면

본문


교포리穚浦里


조선후기 직산현 언북면과 숙성면 지역이었다가 갑오개혁 뒤 수원군에 편입됐다.
  1914년 언북면 교포·숙성면 주교동 일부·진위군 고두면 교포리·송호리를 통합해 교포리라 했다.



• 원교포元橋浦 : 교포1리 다리근처의 한자지명이다.

• 송호松湖 : 교포2리의 마을지명으로 궁방전이 많아서 ‘궁말’이라고도 부른다.

• 월량촌越梁村 : 교포3리의 마을지명으로 ‘똘건너’가 한자화된 것이다.



길음리吉音里


조선후기 수원부와 직산현 지역. 1914년 길음리·미촌·승량면 미촌·언북면 홍원弘院을 통합해 길음리라 했다.



• 원길음元吉音 : 길음1리의 자연지명. 안성천 갯가여서 땅이 질어 ‘질음’이라고 했던 것을 한자로 길음으로 표기했다.
     마을 형국이 닭을 닮아서 ‘계음’이라고 했던 것이 길음이 됐다는 설도 있다.

• 내탑內塔 : 길음2리의 자연지명. 당거리 탑현의 안쪽에 마을이 형성돼 유래됐다. ‘안탑골’이라고도 부른다.

• 미촌美村 : 길음3리의 마을지명. 안성천 갯가의 끝에 위치해 ‘미삐’라고도 부른다.

• 양성말 : 조선후기 양성현 땅. 해방 후 안성천의 침식작용으로 폐동됐다.

• 홍원 : 양성말과 안중읍 대반리 사이의 마을. 간척으로 형성됐지만 안성천 침식작용으로 폐동됐다.



당거리堂巨里


조선후기 충청도 직산현 언북면 지역. 1914년 당거리·안두리·탑현塔峴·안원리·동원리를 합쳐서 당거리가 됐다.



• 탑현塔峴 : 당거1리의 자연마을. 길음리로 넘어가는 고개에 탑이 있어 ‘탑고개’라 했다.
     탑을 섬기는 탑신령이라는 무당이 살았다.

• 원당거元堂巨 : 당거2리의 지명. 길옆에 엄나무 당목으로 형성된 마을제당이 있고 아홉 무당이 살았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 길마원吉馬院 : 당거3리의 마을지명. 오성들을 간척하며 길마로 제언을 쌓아 마을과 경작지를 만들었다고 해서
     유래됐다. ‘길마지’라고도 부른다.



숙성리宿城里


갑오개혁 뒤 수원군 숙성면. 1914년 숙성리·대조두리·소조두리·월량촌을 통합해 숙성리라고 했다.
   오성면의 면 소재지로 오성주민센터를 비롯해 각종 관공서와 공공시설이 밀집됐다.



• 원숙성元宿城 : 숙성1리의 자연마을. ‘잔재’, ‘시장’, ‘주막거리’와 같은 자연마을로 형성됐다.

• 대조두大潮頭 : 숙성2리의 자연마을. ‘큰조머리’라고 한다. 밀물 때 바닷물이 들어오던 곳에서 유래됐다.

• 소조두小潮頭 : 숙성3리의 자연마을. ‘작은조머리’라고 한다. 조금 때 바닷물이 들어오던 곳에서 유래됐다.

• 숙신대宿新垈 : 숙성4리의 자연마을. 근대 전후에는 ‘수원새터’라고 불렀다가 1914년 이후 숙성리가 속하면서
     ‘숙신대’라고 했다.

• 시장 : 숙성5리의 자연마을. 숙성리장이 열렸던 곳이다.



신리新里


고려 때 오타장이 있었고, 조선시대에는 수원부 오타면과 진위군 고두면 지역이었다.
  1914년 수원군 언북면의 중대와 고두면 신리(새터)를 통합해 신리新里라 했다.



• 삼궁원三宮院 : 신1리의 자연지명. 조선후기 궁방전이 있었다. 배다리가 있어 주교포라고도 한다.

• 신대新垈 : 신2리의 자연지명. ‘새터’의 한자지명이다.

• 삼동촌 : 신3리의 자연지명. 궁리의 다라고비진과 연결된 뱃터가 있었다.

• 중대中垈 : 신4리의 자연마을. ‘중새터’라고도 부른다.



안화리安化里


조선후기 진위현 오정면. 1914년 주교동의 일부·안화·송대를 합해 오성면 안화리라 했다.
  안화라는 지명은 최초 입향 세력인 순흥 안씨들이 마을이 번창하라는 뜻에서 지었다 한다.



• 원안화元安化 : 안화1리의 자연지명. 본래는 진위천 옆에 마을이 형성돼 홍수가 잦았기 때문에 ‘우다내’라고 했던
     것을 순흥 안씨가 거주한다고 해서 안화라고 했다.

• 송대松垈 : 안화2리의 자연마을. 본래 마을 공동우물 옆에 커다란 소나무가 있어 ‘솔터’라고 부르던 것을 한자로
     ‘송대’라고 했다.

• 소금배·바다내·태편 : 안화1리의 자연지명. 바닷물이 드나들던 시기에 소금배가 닿았다고 해 유래됐다.



양교리梁橋里


갑오개혁 뒤 수원군 숙성면 지역. 양교3리 대겸당리에 숙성면사무소가 있었다.
   1914년 양교동과 대겸당리를 통합해 양교리라 했다.



• 원양교元梁橋 : 양교1리의 자연마을. 개울을 건너는 두 개의 다리가 있다고 해 양다리라 했다.

• 고렴高念 : 양교2리의 자연마을. ‘삼태평’, ‘태끌이’, ‘개각뿌리’, ‘구래미’와 같은 자연지명이 있었는데 고렴은
     구래미에서 음을 빌려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 신흥동新興洞 : 양교3리의 자연마을. 본래 한국전쟁 때 피난민들이 정착하면서 ‘분가촌’으로 부르다가 ‘신흥’으로
     고쳤다.

• 대겸당大兼堂 : 양교4리의 자연지명. 옛 숙성면의 면소재지였다. 집안의 노복까지도 큰 집에서 살았다는 데서
     유래했다 한다.

• 여수麗水 : 양교5리의 자연마을. 샘물이 맑고 풍광이 수려해 유래됐다. ‘여술’이라고도 부른다.

• 문장자고개 : 여술에서 새터로 넘어가는 낮은 고개. 문장자고개 전설이 전해온다.

• 신기新基 : 양교6리의 자연마을.

• 오봉산 : 양교리 북쪽을 비보裨補(도와서 보충함)하는 산. 봉우리가 다섯 개였지만 흑연광산 개발로 현재는 두 개만
     남아있다.

• 형제산 : 양교6리 새터 서쪽의 산. 봉우리가 3개여서 ‘삼정승산’이라고도 한다.



죽리竹里


갑오개혁 뒤 수원군 숙성면지역. 본래 ‘죽동’, ‘댓골’로 불렀던 것을 1914년 대죽동·소죽동·소겸당리를 통합해
 죽리라 했다.



• 방울防菀 : 죽1리의 자연마을. 1914년 이전에는 ‘소겸당리’라 했다. 마을 뒷산이 매의 형국인데 방울이 달린 자리에
     마을이 자리를 잡아 유래됐다.

• 소죽동 : 죽4리의 자연마을. ‘작은댓골’ ‘고군뱅이’라고도 한다.

• 대죽 : 죽3리의 자연지명. ‘대죽골’이라고도 한다.

• 신죽 : 죽2리의 자연마을. 한국전쟁 뒤 댓골 옆에 새로 형성돼 ‘새댓골’ 또는 ‘진흥굴(기능골)’이라고 했던 것을
     1970년경 분동되면서 ‘신죽’이라 했다.

• 즘말 : 죽리의 자연마을. 옹기를 굽던 ‘점말(촌)’의 변음이다.

• 대소골 : 종자공급소가 들어서고 마을이 커져 분동되는 과정에서 유래된 지명이다.



창내리倉內里


조선후기 직산군 언북면 지역이었고 1914년 창내리가 됐다. 조선후기 5군영 가운데 하나였던 수어청 둔전屯田
  곡식을 저장했던 창고가 있어 유래됐다.



• 원창내 : 창내1리의 자연마을. 가장 먼저 생긴 마을로 본래는 ‘창안말’이라고 했다.

• 구창내 : 창내2리의 자연지명. 분동되면서 원창내 주민들이 옮겨와 살았다고 해 유래된 지명이다.

• 신창내 : 창내3리의 자연지명. 가장 늦게 만들어진 마을에서 유래됐다.

• 동창東倉 : 창내4리의 자연지명. 창내리의 동쪽에 새로 형성된 마을에서 유래됐다.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