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위면 > 평택시 지명유래

본문 바로가기
평택시 지명유래 > 진위면
■ 진위면

본문


가곡리佳谷里


조선후기 진위군 이북면 지역. 1914년 구가곡·신가곡·신북·후북을 통합해 가곡리라 했다.



• 가야실 : 가곡리의 우리말 이름. ‘구가곡’, ‘뒷개실’, ‘가실’, ‘계실’, ‘개실’, ‘계시루’, ‘가오실’ 등으로 다양하게 불려진다.
     700여 년 전 ‘가야실’이라는 높은 벼슬을 한 분이 살았다는 데서 유래했다고 전하지만 확실치 않다.

• 신가곡新佳谷 : 가곡1리의 마을. 새로 형성된 마을이라는 뜻이다. ‘앞개실’이라고도 부른다.

• 신북新北 : 가곡3리의 마을. 견산리성의 뒤쪽에 위치해 ‘성북城北’ 또는 ‘응달말’, ‘응거말’이라고도 한다.

• 후북後北 : 가곡4리의 마을. ‘양지말’, ‘성뒤’, ‘뒷성지’라고도 한다. 견산리성의 뒤쪽에 위치해 유래됐다.

• 당월堂月 : 가곡5리의 마을. 신북마을 당집 너머에 새롭게 마을이 형성돼 당‘너머’라고 했던 데서 유래됐다.



갈곶리葛串里


조선시대 수원군 청호면 지역. 1914년 갈곶리 삼동 일부를 통합해 갈곶리라 했다. 1995년 행정구역 조정에 따라
    갈곶1리가 오산시에 편입됐고, 갈곶2리를 1·2리로 분할했다.



• 가룻이 : 갈곶리의 자연지명. 옛날 오산천으로 바닷물이 유입될 때 곶串이 형성돼 유래됐다.

• 갱변 : 갈곶2리의 자연지명. 오산천 변에 마을이 형성돼 유래됐다.

• 뱃터 : 갈곶2리의 자연지명. 옛날 배가 닿았던 나루터다.

• 갈곶1리 : 한국전쟁 뒤에 형성된 피난민촌. 갈곶2리에 포함됐다가 1995년 행정구역 조정에 따라 갈곶2리가
     분동되면서 1리로 편제됐다.



견산리見山里


조선시대 진위군 이북면이었다. 1914년 산직리·견산리·만촌을 통합해 견산리라 했다.



• 견산見山 : 견산1리 ‘볼미’의 한자 지명이다. 고구려 때 견산리성(또는 부성) 있었고 사면을 둘러볼 수 있는
     ‘견적대見敵臺’라는 망루가 있어 유래됐다.

• 볼미 : 견산리의 우리말 지명. ‘벌뫼’, ‘벌미’라고도 한다. 장호들을 내다보는 산등성이에 마을이 형성돼 유래됐다.

• 산직山直 : 견산2리의 마을. 앞거리·산지기촌으로도 불렸다. 조선시대 삼남대로 견산리 주막밖 술막이 있었다.



동천리東泉里


조선시대 진위면 일북면 지역. 1914년 동치골·사후·용인군 서촌면 사후를 통합해 진위군 북면 동천리라 했다.



• 동천東泉 : 마을에 좋은 샘이 있고, 동쪽에 물이 마르지 않는 전답이 있어 해마다 풍년이 들었다는
     데서 유래했다.

• 동추골 : 동천1리의 자연지명. ‘동치골’이라고도 한다.

• 사후동寺後洞 : 동천2리의 자연지명. ‘절뒷골’이라고도 한다. 마을 뒤에 절이 있어서 유래됐다.

• 거북골 : 윗골의 다른 지명. 옛날 오산 방면에 조성 중이던 함평 이씨 묘에 쓰일 묘비를 실은 마차가 아랫말을
     지나던 중 묘비가 깨져서 이유를 살펴보니 묘소의 지형은 ‘제비형’인데 묘비가 깨진 곳이 ‘뱀의 머리 혈(사두혈)’
     이라서 뱀이 먹어치울 형국이었다.
    묘비를 세우지 못하고 거북이형의 비대(귀부)만 남아있게 되면서 ‘거북골’이라 했다.

• 아랫말 사터·비탈말 : 사후동의 자연마을.



마산리馬山里


진위군 마산면 지역. 1914년 오룡동五龍洞·신제리新堤里·수촌藪村·와곡리瓦谷里·내곡리를 통합해 마산리라 했다.



• 오룡동五龍洞 : 마산1리의 자연지명. ‘오룡골’이라고도 한다. 마을 뒤에 다섯 마리 용이 승천할 혈이 있었다고
     해 유래됐다.

• 수촌藪村 : 마산2리의 마을. 울창한 숲 속에 마을이 형성돼 ‘숲안말’이라고 했던 것의 한자지명이다.

• 왜골 : 마산3리의 마을. 기와를 굽던 가마가 있어 ‘와골’, ‘오얏골’이라고 부르던 것이 음이 변해 유래됐다. 일설에는
     고려 때 왕이 행차하다가 마을에 큰 기와집이 있어 신하에게 물으니 안와부安瓦夫의 집이라고 아뢰었다. 그러자
     왕은 백성이 큰 기와집을 짓는 것은 분수에 어긋난다고 허물게 했다. 집은 폐허가 됐고 기왓장은 흩어져 버려
     ‘와곡터’또는 ‘기와숲터’라 불렀다는 전설이 있다.

• 안골 : 마산4리의 마을. 한자로는 ‘내곡’이라 한다. 조선 중기 안효인이 죽산 황새울의 처가에서 피신해 살다가
     이거해 살면서 안씨들이 사는 마을이라고 해 안골이라고 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 태봉산 : 마산리의 주산. 왜골과 안골 일대를 에워싸고 있다.

• 다학산 : 오룡동과 숲안말을 감싸고 있는 산. 다락산이 음이 변하면서 다학산으로 변했다고 전한다.

• 신제점 : 조선시대 삼남대로의 길목. 자연지명으로 ‘샛둑거리’라 부른다. 바닷물이 밀려드는 갯가였는데 둑을
     쌓고 간척하며 유래됐다. 신제점(새둑거리 주막)이 설치됐다.



봉남리鳳南里


조선시대 진위현의 읍치邑治. 갑오개혁 뒤 군내면으로 바뀌었고 1914년 주막·만촌·서문·옥거리·아곡·신당골·교촌을
   통합해 무봉산 남쪽 마을이라고 해서 봉남리라 했다.



• 봉남鳳南 : 무봉산 남쪽에 위치한 마을에서 유래했다.

• 읍내골 : 고구려 이후 진위현의 읍치였기 때문에 유래됐다.

• 동부말 : 봉남1리의 마을. 읍내의 동쪽에 위치한 마을이라는 뜻이다.

• 옥거리獄巨里 : 진위면사무소 동쪽 거리. 옛날 감옥이 있어 유래됐다고 전하지만 확실치 않다.

• 서부말 : 봉남2리의 마을. 읍내의 서쪽에 위치해 유래됐다.

• 서문리西門里 : 봉남3리의 마을. ‘서문’ 또는 ‘아곡’, ‘서문거리’라고도 한다. 옛 진위현 관아의 서문에 위치했다.

• 향교말 : 진위향교 아래에 형성된 마을. 조선시대 향교와 관련된 역을 담당해 ‘교촌’또는 ‘향교말’이라고 했다.

• 주막거리 : 진위면사무소 남쪽 마을. 조선시대 삼남대로 진위주막이 있었다.

• 반촌 : 서부말의 자연마을

• 봉남리장 : 주막거리 동쪽에 있던 옛 봉남리 장터.



신리新里


조선시대 진위군 이북면지역으로 1914년 신리가 됐다. 신리는 ‘새말’의 한자지명이다.



• 신리新里 : 벌판에 새로 형성된 마을. ‘벌말’이라고도 했다. 조선시대 삼남대로의 역원이었던 장호원이 있었다.

• 원터거리 : 벌말의 동쪽에 있으며 조선시대 장호원 터로 보인다. 맹사성과 관련된 인침담 전설이 있다.

• 인침담 : 신리 원터거리 옆에 있었던 연못. 조선 초 맹사성을 마중하러 나왔던 진위·양성·평택 고을의 수령들이
     깜짝 놀라 관인을 빠뜨렸다는 전설이 있다. 간척으로 메워졌다.



야막리野幕里


조선시대 진위군 이서면에 속했다. 1914년 ‘야막리’라 했다.



• 야막野幕 : 마을이 형성될 때 미간지를 개간하기 위해 넓은 들판에 들막을 짓고 살아서 ‘들막’이라고 부르다가 한자로
     ‘야막’이라 했다. 천교도 진위교구가 있던 곳. 일제 강점기 초 3·1운동을 주도했다.



은산리銀山里


조선시대 진위군 마산면 지역. 1914년 월경리·산하리·양성군 승량원면 방촌·기동·신촌 각 일부·상리·은정동·양성군
   면하촌·중리·하중리·상촌을 통합해 은산리라 했다.



• 은산銀山 : 은을 캐던 은구덩이가 있어 은정 또는 은정굴이라고 불렀다. 1914년 은정과 산대에서 한 글자씩
     차용해 ‘은산’이라 했다.

• 산대山垈 : 산 아래 터를 잡은 마을. 은산리와 안성시 양성면 산하리 일대의 8개 마을을 통칭하는 지명이다.

• 기동基洞 : 은산1리의 마을. ‘터골’이라고도 부른다. 봉화 정씨가 처음 터를 잡았다고 해서 유래됐다.

• 방촌傍村 : 은산2리의 마을. 기동에서 떨어져 나와 마을이 형성되면서 유래됐다.

• 미동米洞 : 은산3리의 마을. ‘미등골’이라고도 한다. 쌀이 많이 생산되는 마을에서 유래 됐다는 설, 산등성이 아래에
     마을이 형성돼 유래됐다는 설이 있다.

• 은정골 : 옛날에 은을 캐던 은정이 있었다 해서 유래됐다.

• 상리上里 : 산대에서 가장 위쪽에 있는 마을. ‘말미’라고도 한다.

• 월경 : 은산 5리의 마을. ‘진목이’라고도 한다. 진위현과 용인현의 경계에 위치해 유래 됐다.



하북리下北里


조선시대 진위군 이북면 지역. 1914년 하북리 단일마을로 행정구역을 편제했다.



• 하북下北 : 하북1리 ‘성뒤’의 한자 지명이다.

• 성뒤 : 하북1리의 자연마을. 견산리 산성 뒤에 마을이 형성돼 유래됐다..

• 대정촌大正村 : 하북2리의 자연마을. 벌판에 터를 잡아 ‘벌터’라고도 한다.
        대정(大正1912 ∼1926) 연간에 동양척식주식회사에서 미간지를 개간하며 형성된 마을이다.

• 새마을촌 : 하북3리 자연마을. 하북1리 일부 주민들이 국도 확장으로 집단 이주하여 정착한 마을.



청호리淸湖里


조선시대 청호리는 진위군 일북면 지역. 1914년 청호리·고현리 일부·원당리를 통합해 청호리라 했다.



• 청호淸湖 : 조선시대 제6대로(삼남대로)가 지났던 길목으로 청호역이 설치됐다. 산과 숲이 우거진 곳에 맑고
     아름다운 호수가 있어 유래했다고 전한다.

• 큰 청호 : 청호리의 큰 마을로 삼남대로가 지났지만 택지개발로 폐동됐다.

• 작은 청호: 마을 앞에 저수지가 있고 노송이 우거져서 풍광이 아름다웠던 마을. 청호리의 작은 마을이다.

• 원당元堂 : ‘원뎅이’라고도 부른다. 제당祭堂이 있던 곳에 마을이 형성돼 유래됐다.



주석